취업자 수 2년 5개월 만에 최대폭 늘어
고용률도 61.4%로 22년 만에 가장 높아정부 “정책 효과… 양적·질적 크게 개선”
1년 전 ‘고용 참사’에 따른 기저효과 커
“재정으로 만든 노인 일자리 10만명 기여”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35만 8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45만 2000명 늘었다. 월별 증가폭으로는 2017년 3월(46만 3000명) 이후 2년 5개월 만에 최대치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장 좋은 기록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그간 정부가 재정을 적극적으로 운용해 온 만큼 정책 효과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도 “고용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이 45만명을 돌파한 것은 비교 대상인 지난해 8월 취업자가 3000명 증가하는 데 그친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30만명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으나 그 이상 늘어난 것은 기저효과로만은 설명할 수 없다”며 “고용에 영향을 많이 주는 서비스업과 제조업 회복세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취업자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 4000명), 숙박음식점업(10만 4000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8만 3000명)에서 많이 늘었다. 숙박음식점업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 취업자(-2만 4000명)는 감소세를 이어 갔으나 조선·자동차 회복세에 힘입어 지난 7월(-9만 4000명)보다 감소폭이 둔화됐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39만 1000명, 50대 13만 3000명, 20대가 7만 1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40대는 12만 7000명, 30대는 9000명 각각 감소했다. 특히 40대 취업자는 전월(-17만 9000명) 대비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우리 경제의 허리와 근간인 40대와 제조업에서 취업자 감소폭이 줄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요소다. 통계청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사업이 10만명가량 기여했다고 추산했다.
지난달 고용률(15세 이상)은 61.4%로 1년 전보다 0.5% 포인트 오르며 1997년 8월 이래 2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5~64세 고용률은 67.0%로 1989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취업자가 급증하면서 지난달 실업자는 85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 5000명 감소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2013년 8월(78만 3000명)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6년 만에 가장 적었다. 이에 힘입어 실업률은 3.0%로 1년 전보다 1.0% 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2%로 같은 달 기준 2012년(6.4%) 이후 최저였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저효과와 재정 투입에 의한 일자리 창출이 지속가능하다고 보긴 어렵다”면서 “통계로는 개선됐을지 몰라도 체감 고용 상황은 여전히 나쁘다”고 평가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서울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9-1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