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종료 후 기름값 5주 연속 상승…한 달 만에 45원↑

유류세 인하 종료 후 기름값 5주 연속 상승…한 달 만에 45원↑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09-28 10:23
업데이트 2019-09-28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휘발유 ℓ당 1539원, 더 오를 듯…사우디 회복 소식에 국제유가는 하락

경유 ℓ당 1388원… 한 달 간 37원 상승
서울 휘발유 평균 ℓ당 1642원 전국 최고
제주, 인천·대전, 강원·충남 순 비싸
대구 ℓ당 1508.9원으로 가장 저렴
이미지 확대
22일 서울의 한 주유소에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1999원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9월 셋째주 기준 전국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5.6원 상승한 리터당 1529.1원을 기록했다.2019. 9. 22.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2일 서울의 한 주유소에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1999원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9월 셋째주 기준 전국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5.6원 상승한 리터당 1529.1원을 기록했다.2019. 9. 22.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유류세 인하 조치가 종료된 직후 전국 주유소 휘발유값이 한 달 만에 45원이 오르는 등 5주째 기름값이 상승하고 있다. 지난주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피격 여파로 급등했던 국제유가는 생산능력 회복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번 주에는 하락 안정세를 보였다.

2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9월 넷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9.9원 오른 1539.0원을 기록했다. 경유 가격도 ℓ당 1388.0원으로 전주보다 8.5원 상승했다.

휘발유값은 ℓ당 1494.0원이었던 8월 마지막 주와 비교해 4주 동안 45원 올랐다. 이달 첫째주 전주보다 ℓ당 23.0원이나 급상승한 휘발유값은 둘째주 6.5원, 셋째주 5.6원, 넷째주 9.9원 오름세를 유지했다. 경유값은 ℓ당 한 달 만에 37원이 상승했다.

이는 9월 1일부터 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가 종료돼 기존 가격으로 돌아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조치로 휘발유의 경우 리터당 최고 58원, 경유는 41원, 액화석유가스(LPG)는 14원씩 인상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서울 휘발유 가격은 ℓ당 1642.9원으로 전주보다 10.6원 올랐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103.9원이나 높은 수치다.
이미지 확대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 종료를 하루 앞둔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의 한 주유소에서 차가 주유하고 있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9월 1일부터 ℓ당 최대 58원 상승할 전망이다. 이날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8월 넷째 주 주간 단위 전국 주유소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0.9원 오른 ℓ당 1494.0원이었다. 2019.8.31  연합뉴스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 종료를 하루 앞둔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의 한 주유소에서 차가 주유하고 있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9월 1일부터 ℓ당 최대 58원 상승할 전망이다. 이날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8월 넷째 주 주간 단위 전국 주유소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0.9원 오른 ℓ당 1494.0원이었다. 2019.8.31
연합뉴스
서울에 이어 제주(1623원), 경기(1552원), 인천·대전(1547원), 강원·충남(1544원) 순으로 높았다. 최저가 지역은 대구로 ℓ당 1508.9원으로 서울보다 134.0원이 저렴했다.

이번주 상표별 휘발유·경유 가격도 상승했다. 평균 가격이 가장 비싼 SK에너지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10.6원 오른 1554.9원, 경유는 9.1원 오른 1404.3원으로 조사됐다.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은 11.2원 오른 1513.5원, 경유는 9.7원 오른 1363.0원이다.

기름값은 유류세 인하 종료 이후 휘발유 가격 상승분이 아직 유류세 환원분(58원)에 못 미치고 있고 사우디 피격 영향으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분이 다음 주부터 국내 주유소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당분간은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국제유가 상승분은 통상 2~3주 뒤에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반면 국제유가는 이번 주 하락했다. 한국이 주로 수입하는 석유 기준인 두바이유 가격은 둘째 주에 배럴당 59.9달러에서 지난주 64.4달러로 뛰었다가 이번 주 62.6달러로 안정됐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국제유가는 사우디 생산능력 회복 소식과 미국 원유재고 증가의 영향으로 하락했다”면서 “다만 중동지역에서 서방과 이란 간의 긴장 고조 등으로 인해 하락 폭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