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나빠지면… MZ가 허리띠 더 꽉 조인다

경기 나빠지면… MZ가 허리띠 더 꽉 조인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2-11-21 22:02
업데이트 2022-11-22 0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세대별 소비행태 보고서’

의식주 25% 줄이고 여가도 30%↓
소득·자산 기반 취약에 소비 위축
경기 부진 심화 불러… 안전망 필요

경기가 위축되는 시기에 이른바 ‘MZ세대’(1980년~2000년대 초 출생)가 다른 세대보다 더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경기 부진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계소비행태 변화 분석: 세대별 소비행태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와 관계없이 베이비붐 이전 세대(1941~54년생)와 MZ세대(1980~95년생)의 ‘소비격차’가 다른 세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격차란 소비 예측치에 비해 실제 얼마나 소비했는지를 보여 주는 값이다. 연구는 최영준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차장이 경기 수축기(2008~2009년·2011~2013년·2017~2019년)와 경기 확장기(2009~2011년·2013~2017년)에 따른 ▲베이비붐 이전 세대 ▲베이비붐 세대(1955~64년생) ▲X세대(1965~79년생) ▲MZ세대의 소비 지출을 분석한 결과다.

경기 수축기에는 MZ세대가 소비격차에서 각각 333.8%(2008~2009년)와 122.9%(2011~2013년), 78.0%(2017~2019년)를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시기의 소비 부진에 MZ세대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 수축기에 MZ세대의 소비격차는 기본적인 의식주와 같은 기초소비에서 평균 -25%대, 취미생활과 여가·차량 유지비 등 선택소비에서 평균 -30%대를 기록해 모든 세대에 걸쳐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수축기에 가계 소비가 국내총생산(GDP)보다 빠른 속도로 줄어들며 소비가 경기를 일정 정도 지탱하는 ‘완충’ 역할이 약화됐는데, MZ세대의 소비가 크게 위축되면서 이 같은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최 차장은 “소비의 원활한 경기 완충기능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소득과 자산 기반이 취약한 MZ세대와 베이비붐 이전 세대의 소비가 지나치게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망이 필요하다”면서 “MZ세대가 지나친 ‘영끌’과 ‘빚투’를 하지 않도록 하는 금융 문해력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2022-11-22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