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악 시나리오’에서 성장률 1.1% 곤두박질 … 이창용 “장기 저성장 시작”

‘최악 시나리오’에서 성장률 1.1% 곤두박질 … 이창용 “장기 저성장 시작”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5-25 16:53
업데이트 2023-05-25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1.6 →1.4%로 하향
“중국 경제 회복 지연 등 ‘최악 시나리오’에서는 1.1% 성장”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6년만에 준공된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본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3.5.25.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하향 조정한 가운데 중국 경제의 회복이 지연되는 등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1.1%까지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낙수 효과와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업황 개선 등을 누릴 수 있는 시점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어 ‘상저하고’(上低下高)가 아닌 ‘상저하중’(上低下中)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마저 나온다.

“中 경제 낙수효과·반도체 업황 개선 예상보다 늦어”
한은은 25일 공개한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수치(2월·1.6%)에서 0.2% 포인트 낮춘 1.4%로 제시했다. 한은은 “국내 경기는 IT 경기 위축 심화와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등으로 부진을 이어 가다 하반기 이후 점차 나아질 것”이라면서도 “회복 속도는 당초 예상보다 완만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에서 재고를 먼저 소진하고 ‘펜트업’(억눌렸던 소비가 늘어나는 것) 효과로 우리나라의 수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면서 “중국 경제는 예상보다는 늦어도 하반기에 회복하겠지만, 지정학적 이슈가 있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글로벌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찍는 시점은 2~3분기가 아닌 4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중국 경제의 회복이 보다 지연되고 선진국의 금융 불안이 확대되는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이 1.1%까지 낮아질 것이라고 한은은 내다봤다. 반면 중국의 성장 동력이 강화되는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이 종전 전망치인 1.6%도 가능하다는 게 한은의 추정이다. 이 총재는 “IT 부문을 제외하면 경제성장률은 1.8%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면서 “제조업 위주에 에너지 수요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1.4%의 성장률은 비관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6년만에 준공된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 참석하고 있다./2023.5.25. 사진공동취재단
항목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4.3% 성장한 민간 소비는 올해 2.3% 늘어나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반면 설비투자 증가율은 -3.2%로 지난해(-0.5%)보다 낙폭을 키우고, 재화수출은 0.4% 증가에 그치며, 건설투자는 마이너스 성장(-0.4%)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298억 달러에서 올해 240억 달러로 줄어들 것이라고 한은은 전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저출산·고령화에 장기 저성장 진입”
이 총재는 “저출산·고령화로 우리는 이미 장기 저성장 구조에 와 있다”면서 “노동, 연금, 교육 등 구조개혁이 필요하지만 이해당사자 간 타협이 어려워 진척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상저하고’ 전망에 대한 회의론도 나온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갈등으로 중국 리오프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효과가 기대에 못 미칠 가능성이 높다”면서 “선진국의 긴축 효과로 비IT 산업의 경기 흐름도 특별히 좋아질 가능성도 제한적이어서, 수출경기 개선으로 국내 경제가 상저하고의 움직임을 보일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