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국가정보보호지수 60.3점…2.3점 올라
지난해 기업과 개인의 정보보호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됐으나 실제 조치에 대한 이해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별 정보보호 격차도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5천개 기업과 인터넷 이용자 2천5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정보보호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국가정보보호지수는 60.3점으로 2010년보다 2.3점 올랐다고 27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의 대다수인 97.4%가 ‘정보보호가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95.1%가 ‘해킹이나 개인정보유출 등 인터넷 역기능으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개인 이용자들의 74%는 백신 및 보안패치 등 기본적인 정보보호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인 아이핀(i-PIN)에 대한 인지율도 47.1%에서 62.2%로 늘었고 실제로 아이핀과 공인인증서를 이용하는 사람은 61.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정보보호 관련정보를 얻는 곳을 모르거나(33.9%) 용어가 어려워(19.9%) 정보보호 관련 정보를 찾지 않는 사람들이 전체의 35%에 달했다.
기업의 경우 유럽발 재정위기의 여파로 지난해 GDP 성장률이 전년의 절반 수준인 3.6%로 떨어지면서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들이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대기업의 정보보호 수립율은 올랐으나 전체 기업의 수립율은 20.9%로 4.9% 감소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과 금융기관 정보보호책임자 지정 의무화 등 관련 규제가 강화되면서 관련 법 이행 수준이 높아졌다.
지난해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와 개인정보관리책임자(CPO)를 임명한 기업은 각각 전년보다 7.8%, 3.4% 증가한 22.3%, 48.2%로 조사됐다.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경우 이용자 동의를 확보하는 기업은 전체의 99.3%에 달했으며 위탁시에도 95.4%가 이용자에게 동의를 얻었다.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암호화해 저장하는 기업도 늘어 주민번호 암호화 저장률이 2010년 57.3%에서 2011년 79.3%로 크게 올랐다.
방통위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정보보호에 취약한 중소기업에 웹해킹 탐지도구, 악성코드 은닉사이트 탐지 프로그램 등 무료 보안 소프트웨어를 보급할 예정이다.
또 모바일 오피스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신규 서비스에 따른 보안 대책을 마련하고 인터넷 이용자들이 쉽게 접할수 있는 SNS 등을 이용해 정보보호 대책을 홍보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