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완화 수혜가구 논란

DTI완화 수혜가구 논란

입력 2010-08-31 00:00
업데이트 2010-08-3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도권 무·1주택 가구 산정 통계 없어

국토해양부가 무주택 및 1주택 가구가 서울·인천·경기 전체 가구의 ‘91%’라고 밝힌 것을 두고 뒷말이 많다. 국토부가 2006년 주택소유현황 통계를 매년 발표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이후 진척이 없어 정확한 수치가 없기 때문이다.

이같은 근거는 국토부 산하 국토연구원의 2008년도 주거실태조사에서 자가주택보유율이 57%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무주택자가 43%임을 알았으니 유주택자 중 1주택자의 비율만 찾으면 된다. 국토부는 2005년에 작성된 주택소유현황조사(당시 행정자치부)를 인용해 유주택자 중 1주택자 비율을 90%로 적용했다.

결과적으로 유주택자인 57%에 그중 1주택자 비율인 90%를 곱한 51.3%가 유주택자 중 1주택자가 된다. 여기에 무주택자 43%를 더하면 무주택자와 1주택자 비율은 94.3%로 산출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료의 작성시기가 5년까지 된 것임을 고려, 다시 90% 수준으로 보정해 예측했고 이를 91%로 발표했다. 오래된 자료를 쓴 데다가 보정 예측 또한 정확하지 않았는데 이를 특정한 수치로 발표한 셈이다.

반면 다른 경제부처들은 시중 은행 등에서 무주택자와 1주택자에 대한 최근 자료를 받아 무주택자 및 1주택자 비율을 계산한 결과 80%대라는 부정확한 결론만 얻어 발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5년부터 인구주택총조사를 실시하는 통계청과의 협의를 거쳐 주택소유현황 통계 결과를 산출토록 되어 있다.”면서 “따라서 정확한 무주택자 및 1주택자 통계는 5년 후인 2015년이 지난 뒤에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소유현황 통계는 지난 2005년 단 한 번 조사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통계청의 승인 없이 발표된 데다가 부정확한 통계라는 각계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후 2006년부터 매년 통계청의 승인을 받는 통계로 개발할 계획이었으나 진척이 없는 상태며, 관련 업무는 2008년 3월 정부조직 개편과 함께 국토부로 옮겨졌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0-08-31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