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자산 90%는 부동산… 유동성 제약
은퇴 후 소득, 부부 최소 생활비 못 미쳐
10명 중 6명은 은퇴 이후에도 자녀부양 교육·결혼비 1억 7183만원 목돈 드는데
1억 밑도는 퇴직급여로는 턱없이 부족
보험개발원은 11일 보험통계와 2년 주기 은퇴시장 설문조사(2019년), 통계청과 국민연금 등 외부기관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한 ‘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에서 이러한 결과를 밝혔다.
40·50대 대부분이 ‘노후 준비가 필요하다’고 응답(94.9%)했지만 ‘충분한 노후 준비가 돼 있다’는 응답자는 31.3%에 불과했다. 2019년 기준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자의 소득대체율(월평균소득 대비 월연금 수령액)은 21.3%에 그쳐 공적 연금만으로는 노후 준비가 충분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은퇴 후 예상되는 지출은 높은 편이었다. 10명 중 6명이 은퇴 후에도 자녀부양 부담이 있다고 했다. 자녀 교육비는 6989만원, 자녀 결혼비는 1억 194만원으로 예상했다. 은퇴 때 받을 퇴직급여(평균 9466만원)만으로 충당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후에 필요한 최소 생활비의 경우 부부 평균은 227만원, 1인 평균은 13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적정 생활비는 부부 평균 312만원, 1인 평균 183만원이었다.
통계청의 2019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보면 가구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은 은퇴 전 평균 6255만원에서 은퇴 후 2708만원으로 감소했다. 은퇴 후 소득은 부부 최소 생활비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의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에 따르면 60대의 52.8%가 취업 상태였다.
40·50대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산의 53.3%를 보유하지만 보유 자산이 실물(75%)에 편중돼 있고, 실물자산의 90% 이상이 부동산에 집중돼 있어 노후에 유동성 제약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험개발원은 “사적 연금 가입 유인을 강화해 안정적인 은퇴·노후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1-01-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