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해외 점포서 작년 순익 33% 증가

금융사 해외 점포서 작년 순익 33% 증가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4-07 21:56
업데이트 2017-04-07 22: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4개국 407개 점포서 7945억원…동남아 위주 인프라 투자비 많이 들어

지난해 국내 금융사들이 해외 점포에서 낸 수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장이 포화 상태가 되면서 금융사들은 동남아 개발 국가를 중심으로 해외 영토 확장에 힘쓰고 있지만 아직은 걸음마 수준에 머물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사들은 지난해 44개국 407개 점포에서 총 6억 5700만 달러(약 7945억원)의 순익을 냈다. 2015년 순익 4억 9300만 달러(약 5962억원)보다 33.3%(1억 6400만 달러)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낸 순익이 전체의 83.7%(5억 5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특히 2015년 중국에서 1300만 달러의 손실을 냈으나 지난해 1억 달러 순익으로 흑자 전환했다. 해외 점포의 총자산은 지난해 1113억 1200만 달러로 전년과 비교해 9.0%(91억 8800만 달러) 늘었다. 해외 점포 수는 1년 새 11개가 늘어 407개가 됐다. 업권별로 은행(178개)이 가장 많았고 증권사(112개), 보험사(81개), 카드·캐피탈사(33개), 금융지주사(3개) 순이었다.

최근 은행들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시장을 주로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진입 규제가 강화되면서 현지 금융사를 인수·합병(M&A)하거나 합작법인을 만들어 현지화를 시도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올해 처음으로 해외 M&A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1000개 이상 진출해 있지만 기업은행의 점포가 없는 인도네시아를 대상으로 현지 은행 인수를 위해 자문단을 구성하고 실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외국계 은행으로는 처음으로 필리핀 중형 저축은행 웰스디벨롭먼트 뱅크에 투자하며 필리핀 금융시장에 진출했다. 우리은행은 저축은행 투자를 통해 사업을 다각화한다는 전략이다.

이처럼 주요 금융사들이 대부분 해외 진출을 올해의 주요 목표로 내세우고 있지만 녹록지는 않다. 2012년과 비교해 총자산은 지난해 48.3% 늘었지만 이 기간에 순익은 15.0%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금융권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보면 해외 진출은 꼭 필요하지만 개발도상국의 경우 금융 인프라부터 구축해야 하고 금융을 보는 시각차도 커 진입하고 자리잡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4-08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