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비정규직 725명 정규직 전환 계획

새마을금고, 비정규직 725명 정규직 전환 계획

기민도 기자
입력 2017-07-10 20:50
업데이트 2017-07-10 2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G새마을금고가 올 하반기부터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창구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72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 비정규직 725명 정규직 전환
새마을금고, 비정규직 725명 정규직 전환 출처=새마을금고 홈페이지 캡쳐
행정자치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비정규직의 절반 이상인 725명을 정규직화하는 계획을 밝히면서 정규직 전환 우선 대상은 상시·지속성이 요구되는 수신 관련 창구업무라고 10일 밝혔다. 상세한 정규직 전환 시기와 인력 규모는 전국 지역 단위 새마을금고의 재원마련 등 제반여건을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 비정규직은 새마을금고중앙회 산하 단위 금고 총 1321개 중 611곳에서 근무한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는 이곳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1288명의 56.3%인 725명이다. 전체 새마을금고 직원 1만 6523명을 놓고 보면 비정규직은 7.8%로,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면 비정규직 비율은 3.4%까지 낮아진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10∼12월 내부 인사규정 개정을 거쳐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 신분인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면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이 적용돼 다른 일반직원과 동일한 보수체계를 적용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새마을금고 내부 인사규정 개정 전이더라도 비정규직이 새마을금고 신입·경력 공채시험을 통해 일반 정규직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혀 논란을 낳았다. 비정규직이 공채시험을 봐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것은 본인 선택이지 정부가 추진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책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공채시험을 통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배경에 대해 “업무를 잘 아는 비정규직이 (채용)면접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게 되면 공채시험에 응시하는 일반 구직자를 ‘역차별’한다는 논란이 불거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일단은 (비정규직이) 그쪽(공채시험)으로 참여하게끔 ‘지도’를 하겠다는 뜻”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정규직 전환대상이 되는 새마을금고 비정규직이 공채시험을 통해 일반직 신입사원으로 입사하게 되면 이전 근무 경력은 인정받지 못하게 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