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만 잘 내도 금융소외계층 은행대출 쉽게 받는다

통신비만 잘 내도 금융소외계층 은행대출 쉽게 받는다

조용철 기자
입력 2019-04-02 22:32
업데이트 2019-04-03 0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금융정보 활용한 대출 하반기 시행

5대 시중은행 먼저 도입 후 순차 확대
통신비 납부·온라인쇼핑 거래도 평가
금융이력 적은 1300만명에 문턱 낮춰
통신비 정보만으로 20만명 대출 혜택
이미지 확대
금융사와의 거래가 없어도 통신요금이나 온라인쇼핑 결제대금 등을 잘 낸 사회초년생과 주부들이 은행 대출을 받기가 쉬워진다. 비(非)금융정보를 활용한 금융소비자 신용등급 재평가가 거래고객이 많는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올 하반기부터 시행된다. 다른 은행들도 내년 이후 차례로 도입한다.

금융감독원은 2일 통신 가입 이력 등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대출 재평가 절차를 5대 은행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대출 심사 과정에서 거절당한 금융소외계층을 상대로 통신비 납부 내역, 휴대전화 소액결제 정보, 온라인 쇼핑 거래 내역 등을 살펴보는 절차를 한 번 더 진행한다는 뜻이다. 금감원은 재평가 절차가 단순히 대출 승인뿐만 아니라 금리, 대출한도 등에도 영향을 미치도록 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해 대출 문턱을 넘지 못했던 사회초년생, 주부, 고령층의 은행대출이 수월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내은행은 신용평가를 하면서 카드 사용액, 예금과 대출 실적 등 금융정보를 84.6% 반영하는 반면 비금융정보 반영 비중은 15.4%에 그쳤다. 그 결과 금융소외계층의 신용도가 4~7등급 사이에서 형성되기 일쑤였다. 실제 일반인은 신용등급이 평균 3.0등급인 반면 금융소외계층은 5.2등급이다.
이미지 확대
금감원은 최근 2년 내 신용카드 사용 이력 및 3년 내 대출 경험이 없는 사회초년생, 주부 등 ‘금융이력부족자’(Thin filer)를 1303만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금감원 은행리스크업무실 양지영 팀장은 “재평가 과정에서 어느 비금융정보에 비중을 더 둘지는 은행마다 다를 것”이라면서 “올해 안에 재평가 절차를 여신심사 단계로 흡수해 금융소외계층이 일반인과 동일하게 여신심사를 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통신 정보만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더라도 기존에 대출이 거절됐던 신용등급 7~8등급 사이 71만명 중 20만명이 은행대출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금융소외계층 대출 확대와 함께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조회회사(CB) 도입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들 CB사는 통신 정보 외에 전기·가스 요금납부 실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정보만으로도 개인신용을 평가할 수 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9-04-03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