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익률 1.01%… ‘쥐꼬리’ 원성
보육시설·사회복지법인 50% 감면사회초년생 최대 70%까지 낮춰줘
기업의 퇴직연금 도입 의무화를 앞두고 은행권이 수수료 인하에 나서고 있다. ‘쥐꼬리 수익률’이라는 고객의 불만에도 대응하는 모습이다.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이 이달 중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 운용관리 수수료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적립금 자산 평가액이 100억~500억원인 경우 수수료를 0.23%에서 0.22%로 0.01% 포인트 낮출 것으로 보인다. 수수료를 50% 감면해 주는 대상에도 보육시설, 사회복지법인 등을 추가한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12월에도 DB형 자산관리 수수료를 내렸다. 지난 6월에는 사회초년생(만 19~34세)은 개인형 퇴직연금(IRP) 수수료를 70% 깎고 확정기여형(DC) 자산관리 수수료율도 0.02% 포인트 낮췄다.
다른 은행들도 퇴직연금 수수료를 내리는 추세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7일 고객이 사전에 지정한 방식으로 운용하는 포괄적 운용지시 제도를 도입하고 사회초년생의 수수료를 최대 70% 낮췄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1일 개인형 IRP의 누적 수익률이 손실을 보면 수수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 신한은행도 지난 7월부터 1년 단위로 개인형 IRP 계좌에 손실이 나면 운용·자산관리 수수료를 면제한다.
은행들이 성장하는 퇴직연금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선제적으로 수수료 인하 카드를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저조해도 금융회사는 장기간 수수료를 가져갈 수 있기에 고객의 불만이 높았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수익률은 1.01%에 그쳤지만 적립금은 190조원을 넘어섰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11-1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