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해진 동학개미…미래 대비는 낙제점
韓 금융이해력 OECD 평균 웃돌아작년 주식 열풍에 금융지식 7.5점↑
“은퇴 준비에 자신있다” 14.2% 불과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17/SSI_2021011722132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17/SSI_20210117221323.jpg)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2020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성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66.8점으로 OECD 10개국 평균(2019년 조사) 62점보다 높았다. 비교 대상국은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포르투갈·폴란드·헝가리·체코·슬로베니아·에스토니아·콜롬비아다. 금융 이해력은 ▲금융 지식(합리적 금융 생활을 위해 갖춰야 할 지식) ▲금융 행위(건전한 금융·경제생활을 위한 행동 양식) ▲금융 태도(현재보다 미래를 대비하는 의식) 3개 분야에 나눠 측정했다. 국내 조사는 지난해 8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전국 만 18∼79세 개인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한국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2년 전인 2018년 조사(62.2점) 때와 비교해 4.6점 높아졌다. 2018년에는 OECD 평균(64.9점)을 밑돌았다. 한은 측은 주식 붐으로 금융·경제 관련 기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등 시대상이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금융 이해력 3개 항목 가운데 금융 지식 점수(73.2점)는 2018년(65.7점)보다 7.5점이나 뛰었다. 또 금융행위 점수도 2년 사이 59.9점에서 65.5점으로 5.6점 높아졌다.
반면 미래 대비와 관련된 금융 태도 점수(60.1점)는 오히려 2년 전보다 1.2점 떨어졌다. 특히 청년층(18∼29세)의 경제·금융 차원의 미래 준비가 부족했다. 청년층은 저축보다 소비를 선호하는지 묻는 질문에 ‘선호한다’고 답했고, ‘그렇지 않다’는 답은 26%에 머물렀다. 반면 노년층에서 ‘저축보다 소비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5.1%로 ‘반대’로 응답한 비율(39.4%)보다 낮았다.
또 전체 응답자 중 ‘장기 재무목표를 갖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42.4%로 절반을 밑돌았고 ‘은퇴 준비에 자신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4.2%에 불과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1-03-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