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신설 이견 한국GM 또 노사 갈등

법인 신설 이견 한국GM 또 노사 갈등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8-09-16 17:46
업데이트 2018-09-16 2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측 “생산·연구개발 2개 법인으로 분할”
노측 “구조조정 발판… 한국 철수 포석”
산은 ‘협약 위배’ 회사에 주총금지 가처분


법정관리 위기에서 가까스로 회생한 한국지엠(GM)이 또다시 노사 갈등을 겪으며 정상화에 차질을 빚고 있다. 글로벌 제품 연구개발(R&D) 업무를 집중적으로 전담할 신설 법인 설립을 놓고서다. 사측은 글로벌 기지 확대 차원이라고 주장하지만, 노조 측은 국내 철수를 위한 포석으로 보기 때문이다.

1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지금의 단일 법인을 생산공장과 연구개발 법인 2개로 인적 분할하고 연구개발 부문에 신규 인력을 채용해 글로벌 연구개발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연구개발 법인에는 디자인센터와 기술연구소, 파워트레인 등 관련 부서가 포함된다. 한국GM은디자인센터의 지위를 격상시켜 GM 본사의 글로벌 베스트셀링 모델인 중형급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제품의 차세대 디자인 및 차량개발 업무를 가져오려고 한다. 이를 위해선 법인 분리가 필수라는 게 사측의 주장이다.

반면 노조는 법인 신설 계획이 구조조정의 발판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법인을 쪼갠 뒤 한국GM을 GM의 생산하청 기지로 전락시켜 신설 법인만 남겨 놓고 공장은 장기적으로 폐쇄하거나 매각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미 산업은행 투자를 확약받고 10년 단위의 정상화 계획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 철수할 이유가 없다”며 과도한 우려라고 일축한다. 하지만 노조 반발이 거세자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은 일방적인 법인 설립이 기본 협약에 위배된다며 주총 개최 금지를 목적으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제기, 사측의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8-09-1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