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듀얼 스크린’ 생태계 강화 팔걷었다

LG ‘듀얼 스크린’ 생태계 강화 팔걷었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9-06-18 23:54
업데이트 2019-06-19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대에 두 개 화면 장점 극대화 전략

사내 공모전 아이디어 300건 쏟아져
폴더블폰 출시 연기 틈타 수요 흡수
V50 씽큐 선전, 5G폰 점유율 25%대

LG전자가 ‘듀얼 스크린’ 생태계 강화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스마트폰 한 대로 두 개의 화면을 사용하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내 공모전까지 열어 아이디어를 한데 모았다. 경쟁사의 ‘폴더블폰’(접히는 형태의 스마트폰) 출시가 미뤄진 틈을 타 최대한 수요를 흡수하기 위한 전략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달 중순부터 4주 동안 ‘V50 씽큐 듀얼 스크린 아이디어 사내 공모전’을 진행했다. 지난주 종료된 이번 공모전에는 300여건의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심사를 거쳐 오는 21일 우수 제안자 20명을 시상한다. 이들의 아이디어는 올 하반기 출시가 유력한 ‘듀얼 스크린 2.0’에 적극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공모전에선 스마트폰 이외의 사업 부서에서 나온 아이디어가 75%에 달했다. 외부자의 시각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악보와 건반을 두 개의 스크린에 각각 띄워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게 하거나, 전자책을 양쪽 스크린에 한 페이지씩 올려 마치 종이책을 읽고 있는 듯한 환경을 만들도록 하는 방안이 나왔다. 서로 붙어 있는 듀얼 스크린의 접히는 각도를 다양하게 만들어 활용 폭을 넓히자는 의견도 눈길을 끌었다.

앞으로 폴더블폰이 차세대 스마트폰의 주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LG전자는 당분간 듀얼 스크린에 집중할 방침이다. 폴더블폰이 시기상조라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권봉석 LG전자 MC/HE사업본부장도 “듀얼 스크린폰으로 초기 5G 시장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다.

시장의 반응도 나쁘지 않다. 지난해만 해도 LG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14%가량이었는데 V50 씽큐의 선전으로 현재 5G폰 국내 점유율이 25%대까지 올라간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삼성전자와 중국의 화웨이는 올해 상반기에 선보이겠다고 공언했던 폴더블폰의 공개를 품질 개선을 이유로 연기했다. 경쟁사가 주춤거리는 사이 전열을 가다듬고 있는 LG전자의 ‘듀얼 스크린 2.0’과 삼성·화웨이의 폴더블폰이 각각 하반기에 출시되면 다시 뜨거운 경쟁이 예상된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6-19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