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산관리공사, 해외기관에 부실채권 정리·관리 기법 전수

한국자산관리공사, 해외기관에 부실채권 정리·관리 기법 전수

윤연정 기자
입력 2021-03-29 20:24
수정 2021-03-30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달 서울 캠코양재타워에서 화상으로 개최된 ‘국유재산 관리·개발 및 국영기업 민영화 업무협력 등을 위한 MOU’ 체결식에서 문성유(왼쪽 네 번째)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제공
지난달 서울 캠코양재타워에서 화상으로 개최된 ‘국유재산 관리·개발 및 국영기업 민영화 업무협력 등을 위한 MOU’ 체결식에서 문성유(왼쪽 네 번째)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제공
코로나19로 가계·기업 부실채권이 국내외 금융 안정성을 위협하는 가운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부실채권 정리·관리 기법을 해외에 전수한다. 캠코는 지난 20년 동안 20개국 38개 해외 기관에 국가 금융정책과 공공자산 관리 체계 수립 방향을 제시해 왔다.

캠코는 지난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우즈베키스탄 국가자산관리청(SAMA)과 ‘국유재산 관리·개발 및 국영기업 민영화 업무협력 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다음달부터 온라인 연수를 시작해 우즈베키스탄 SAMA 임직원에게 국유재산 관리와 개발 전담기관으로서의 업무 경험, 노하우, 국영기업 민영화 경험 등을 전수할 계획이다.

문성유 캠코 사장은 “캠코는 우즈베키스탄 국영기업 개혁을 위한 당면 과제를 점진적으로 해소하고, 캠코의 지식과 업무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공유·발전시켜 성공적인 ‘신북방 경제협력 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캠코는 미주개발은행(IDB) 주관으로 진행되는 ‘중남미 공공자산관리 역량 육성’ 컨설팅을 본격화한다. 아르헨티나를 대상국으로 공공자산 관리체계 강화 방안, 관리 시스템 제안 등의 컨설팅을 제공하고 국유재산관리 시스템과 온라인 입찰 시스템 온비드의 수출 기반도 함께 조성할 계획이다. 더불어 ‘미얀마 마이크로 파이낸스 발전 방안’을 주제로 한 경제발전 경험 공유사업과 요르단 정부 대상의 ‘국유 부동산의 효율적 관리·처분과 개발 역량 강화’ 등 다채로운 지식 공유 사업도 진행한다. 앞서 캠코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주관으로 지난해 6월까지 33개월 동안 몽골 정부에 부실채권 정리 전략과 금융구조 조정 분야의 지식을 전수하고, 현지 공공자산관리기구 설립을 위한 법안 제출 지원 등 몽골 부실채권의 효율적 정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2021-03-3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