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기업 10곳 중 4곳꼴 “주총 의결권 확보 어려워”

코스닥 기업 10곳 중 4곳꼴 “주총 의결권 확보 어려워”

입력 2019-06-07 18:01
업데이트 2019-06-07 1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코스닥 업체들이 주주총회 의결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 예년보다 비용을 많이 썼지만 큰 효과는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협회는 12월 결산 코스닥 상장사 634개사를 대상으로 주총 운영현황을 지난 4월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의 42.6%(270곳)가 주총 의결권을 확보하기 어려웠다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작년 조사 때의 33.2%보다 ‘어려웠다’는 응답률이 9.4%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특히 어려움을 겪은 270곳 중 68.5%인 185곳은 감사 선임 안건의 의결권 확보가 어려웠다고 답했다.

의결권 확보를 위해 취한 조치로는 ‘임직원 동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임직원이 방문 및 전화 등을 통해 직접 주주의 참여를 독려했다(복수 응답)는 업체는 338곳으로 전체의 53.3%에 달했다.

전자투표제 실시(234곳·36.9%), 전자위임장 활용(191곳·3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자투표를 통해 의결권을 행사한 주주의 지분율은 평균 6.4%로 지난해(4.6%)보다 1.8%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또 전자위임장을 통한 주총 참여 지분율은 평균 0.4%로 지난해(0.5%)보다 오히려 줄었다.

조사 대상 업체 중 5.7%인 36곳은 의결권 위임 권유 대행업체도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대행업체에 지불한 비용은 평균 5천546만원이었다. 이는 작년 조사 때의 4천393만원보다 26.2% 늘어난 수준이다.

그러나 이들이 대행업체를 통해 확보한 주총 참여 지분은 평균 12.8%에 그쳤다.

코스닥 기업들이 주총에 들인 총비용은 평균 759만원으로 작년(548만원)보다 38.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요 비용을 구간별로 보면 ‘500만∼1천만원’이라는 업체가 106개사(16.7%)로 가장 많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