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공자 수난시대/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공자 수난시대/이순녀 논설위원

입력 2010-02-03 00:00
업데이트 2010-02-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춘추전국시대를 풍미한 사상가 공자(BC 551~BC 479)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일찍이 가난을 경험했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썼지만 창고관리, 가축관리 같은 말단직을 전전하다 50대에 이르러서야 고위관직에 중용됐다. 56세에 노나라 재상의 자리에 올랐으나 현실정치에 좌절해 벼슬을 내던지고 10년 방랑생활을 했다. 말년에는 사랑하는 제자를 잇달아 잃는 불행도 겪었다.

파란만장 역정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사후 2500년이 흘러 공자는 무덤에서 불려나와 역사의 격랑에 내팽개쳐졌다. 롤러코스터처럼 추앙과 추락이 반복됐다. 1919년 5·4운동 때는 망국의 근원으로 지탄받다가 30년대 국민정부에선 숭배의 대상으로 복권됐다. 70년대 마오쩌둥 체제하 문화대혁명 시기엔 또다시 홍위병의 집중공격을 받았다.

공자를 화려하게 부활시킨 건 후진타오 주석이다. 2003년 권좌에 오른 후진타오 주석은 통치이념으로 화평굴기와 화해(和諧·조화)론을 제시하며 공자 재조명에 앞장섰다.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알리는 기관인 공자학원은 2004년 해외에 첫 설립된 이래 5년 새 87개국 340여곳으로 늘었다. 공자 탄신 기념행사인 석전대제를 공식화하고, 공자 탄생일을 국제스승의 날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요즘 중국에선 영화 ‘공자-춘추전국시대’가 화제다. 영화 ‘적벽대전’ ‘와호장룡’의 제작진과 350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초대형 프로젝트다. 후진타오 주석은 감독을 직접 만나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대한 도전이며, 지금이야말로 공자의 사상과 위대한 업적을 다시 한번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적기”라며 격려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 정부의 지나친 공자 사랑이 엉뚱한 논란을 낳고 있다. 지난달 22일 영화 ‘공자’의 개봉에 앞서 중국에서도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는 ‘아바타’의 상영관을 축소하도록 지시했다는 주장 때문이다. 옛날 사람 공자가 미래 종족 나비족과 맞붙는 모양새가 됐으니 썩 좋아 보이진 않는다.

그런가 하면 공자의 고향인 산둥성 정부는 최근 공자를 주제로 한 문화복권을 발행해 빈축을 사고 있다. 복권을 긁어 논어의 명구가 나타나면 상금을 받는 방식이라고 한다. 빗나간 공자사랑이 공자 수난시대를 자초하는 격이다. 과유불급을 설파한 공자가 무덤에서 일어나 기함을 할 만한 해프닝들이 아닐 수 없다.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2010-02-0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