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티켓 다방과 하녀/윤창수 문화부 기자

[女談餘談] 티켓 다방과 하녀/윤창수 문화부 기자

입력 2010-04-03 00:00
업데이트 2010-04-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살의 한 남성 작가가 배에 2인승 외제 스포츠카를 싣고 제주도로 갔다. 다음 작품의 구상을 위해서였다. 하지만 아는 사람 하나 없고, 말 붙일 사람조차 없는 낯선 섬에서 너무너무 심심해졌다.

이미지 확대
윤창수 경제부 기자
윤창수 경제부 기자
그는 ‘티켓다방’에 전화를 걸어 2000원짜리 커피 두 잔을 시켰다. 하지만 티켓 다방에서 온 여종업원이 방문을 열고 들어선 순간 두 사람은 말을 잃고 얼음처럼 굳어졌다. 영화 ‘너는 내 운명’에서 에이즈에 걸린 ‘다방 레지’로 나왔던 전도연을 기대했던 작가는 52세 할머니에 가까운 ‘다방 아가씨’의 출현에 그만 혼이 빠진 것.

주로 60, 70대 할아버지가 티켓을 끊는 것에 익숙했던 다방 여종업원 또한 40살의, 게다가 동안에다 머리가 짧아 30대 초반으로까지 보이는 ‘젊은 청년’이 출현하자 매우 놀랐다.

1986년 상영된 임권택 감독의 영화 ‘티켓’의 배경은 강원도 조그만 항구 도시였다. 도시지리를 전공하는 한 대학교수는 이처럼 도시와 시골을 구분하는 기준이 바로 티켓다방의 유무라고 했다. 인구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도시에는 티켓다방이 없다는 것이다. 제주도에서도 노년층이 사라진다면 티켓다방 역시 추억으로 남을지 모른다.

높은 인기를 끌고 막을 내린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는 이제는 사라진 식모가 등장했다. 입주 가사 도우미라고 불리는 식모를 연기한 신세경은 주인집 아들과 손자 사이에 삼각관계를 이루며 ‘청순 글래머’로 한순간에 대한민국 남성들의 동경 대상이 됐다.

다음 달 개봉 예정인 전도연 주연의 영화 ‘하녀’의 포스터 속 광고문구는 ‘나 잘해요…뭐든지’다. 잠깐 공개된 동영상에 보통 결혼한 여배우는 시댁, 남편, 자식을 생각해 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던 베드신도 있어 역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탄 여배우란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김기영 감독의 영화 ‘하녀’(1960년)는 계급사회를 부수는 획기적인 걸작이었다. 사라져 가고 있기는 하나, 남성들의 무한한 욕구를 상징하는 티켓다방과 하녀는 형태를 달리한 채 여전히 ‘성업중’이다. 50년 만에 개작되는 ‘하녀’가 이번엔 어떻게 한국의 계급의식을 무너뜨릴지 기대가 크다.

geo@seoul.co.kr
2010-04-03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