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내가 바란 길라임의 미래/나길회 국제부 기자

[女談餘談] 내가 바란 길라임의 미래/나길회 국제부 기자

입력 2011-01-22 00:00
수정 2011-01-22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나길회 국제부 기자
나길회 국제부 기자
신데렐라를 모티브로 한 드라마는 질색이다. 권선징악의 방식이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최근 막을 내린 드라마 ‘시크릿 가든’을 ‘본방 사수’했던 이유는 남자 배우들에게 반했던 것도, 천장 높고 채광 끝내주는 고급 주택들에 끌렸던 것도 아니다.

하지원이 연기한 길라임이라는 캐릭터가 마음에 들었다. 김주원(현빈)의 표현처럼 ‘빌어먹을 죄송합니다 소리’를 하루에 백번씩 하는 것만 빼면 말이다. ‘꺄악, 저 좀 도와주세요.’라고 소리치는 대신 스스로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모습에는 재를 뒤집어쓰고 묵묵히 청소와 빨래를 하던 신데렐라는 없었다.

하지만 주원을 구하기 위해 일생일대의 기회를 차버린 순간부터 내가 그렸던 라임의 미래와 점점 거리가 멀어지기 시작했다. 세계적인 스타로 성공하는 길라임을 보고 싶었다. 남녀 몸이 바뀌는, 이미 현실을 떠난 상황에서 뭐든 가능할 테니까.

요정 할머니가 준 드레스가 아닌, 스스로 구입한 옷을 입고 그럴듯한 파티에서 주원과 만나 ‘쿨’하게 웃으며 돌아서는 모습이 내가 그린 행복한 결말이었다. 성공의 기회보다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확률이 더 낮다는 건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사랑이 그렇게 중요해?’라고 말하는 냉소주의자다운 ‘해피 엔딩’이다.

아무래도 정신 건강에는 ‘둘은 행복하게 잘 살았답니다.’식의 마무리가 좋긴 하다. 혼인 신고도 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치는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나라에서 아이를 셋이나 낳아 ‘사회지도층으로서 선행’까지 했으니 신데렐라 못지않게 혐오하는, 바보 같은 인어공주 스토리에서는 벗어났다.

아이를 셋이나 키우면서도 일을 놓지 않고 감독 자리까지 오른 부분에서는 박수가 절로 나왔고, 후배들의 병원비를 ‘남편 돈’으로 내는 장면은 불편했다.

과민반응일까. “올해는 돈 많은 남자 만나 집에서 애나 슬슬 키우면서 쇼핑이나 다녀라.”는 말을 새해 덕담이랍시고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하는데 말이다.

kkirina@seoul.co.kr
2011-01-2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