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아덴만 작전과 ‘굿바이 망부석’ /백승주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장

[시론] 아덴만 작전과 ‘굿바이 망부석’ /백승주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장

입력 2011-02-01 00:00
수정 2011-02-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덴만 작전이 성공한 이후 우리 군에 국민들은 갈채를 보내고 있다.

그 갈채를 함께 보내며, 그 소리를 들으면서 필자는 ‘망부석 코리아’ 이미지를 생각했다.

‘망부석 코리아’란 제 백성도 지키지 못한 역사 속에 있던 우리 한반도 조정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해외로 끌려가서 돌아오지 않은 지아비를 기다리던 조상님들의 모습 속에 약한 조정의 모습을 감출 수 없다. 아덴만 작전은 해외에서 피랍되어 고통 받던 우리 국민들을 우리 국군의 힘으로 구출했다는 새로운 전설을 만들었다.

이미지 확대
백승주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장
백승주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장
우리 해안 곳곳에는 망부석의 슬픈 전설이 산재하고 있다. 대표적인 망부석이 부산 태종대에 있다. 태종대 망부석에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왜구에 끌려간 지아비를 기다리던 한 여인이 오랜 기다림 끝에 그대로 굳어 버렸다는 애틋한 전설이 있다. 울산 치술령에 있는 박제상 가족 망부석뿐만 아니라 해안 곳곳의 망부석에는 나라가 지키지 못한 백성들의 한과 슬픔이 배어 있다.

불행하게도 한반도에 출현한 수많은 정부들은 그러한 슬픈 전설을 청산하지 못했다. 그래서 아덴만은 새로운 전설이 되어 동시대 국민들뿐만 아니라 조상님께 자랑해도 되는 역사적 업적이고, 미래 세대가 길이길이 기억해야 할 강한 한국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는 박수를 보내는 손과 마음을 모아서 아덴만 전설을 만드는 과정에서 남긴 정책과제들을 식별하고 다음 몇 가지의 교훈을 찾아야 한다.

첫째, 정부 유관부처의 협조체제를 더욱 강화하는 일이다. 이번 작전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외교부통상부와 국방부, 다른 국가조직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한 데 있다. 특히 이를 잘 조율하여 타이밍을 잃지 않고 결단을 만들어 낸 안보정책 결정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었다. 그렇지만 아덴만 작전의 성공조건을 다시 면밀히 검토하여, 일회적 성공에 자만하지 말고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군과 언론 간의 협력문제이다. 우리 언론들이 아덴만 작전의 성공을 위해서 신속하게 보도할 권리를 자제하여 정부 방침에 적극 협력한 것은 참으로 소중한 위기관리자산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만 일부 언론이 보도 자제(엠바고)에 협조하지 않음으로써 아덴만 작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었던 사실을 우리 모두는 엄중한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아덴만 작전 관련 보도내용에 대해 과잉홍보냐, 아니냐를 두고 정파적 이익 때문에 정치적 소모 행위를 벌인 일이다. 미국 언론들은 미국의 정보기구가 해외활동과 국내활동을 수행한 경우 평가를 하는 데 다른 기준을 적용한다. 국내활동은 적법성 등 윤리를 잣대로 평가하고, 해외활동은 성패를 잣대로 능력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고귀한 국민을 구출하기 위해 목숨을 건 군사작전을 두고 정파적 유·불리를 따지는 것은 절제되어야 한다.

넷째, 우방국과의 정보협력의 소중함이다. 아덴만 작전을 성공시킬 수 있었던 데는 국군의 능력뿐만 아니라 미국 등 우방국들과의 정보협력이 매우 소중했다. 우리는 우리군의 작전성공을 지원했던 미국 등 우방국의 협력에 감사를 표시하는 데도 인색해서는 안 된다.

이제 더 이상 이 땅에 현대판 망부석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해외에서 실종되거나 구금된 교포를 구출하는 데 성장한 우리 국력, 외교력이 작동되어야 한다. 그리고 많은 위험이 수반된 아덴만 작전이 더 이상 필요 없도록 국민들 모두가 안전을 염두에 두고 해외활동을 하는 예방적 아덴만 작전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2011-02-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