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과분하게도 31만 성동구민의 부름을 4차례나 받았다. 그 기간 중 4년간 지방자치의 현장에서 한발 떨어져 있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 경험이 지금 구정업무 추진에 오히려 도움을 주고 있다. 구청장에서 벗어나 구정을 바라보니 당시에는 보이지 않던 일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중 하나가 동 주민센터이다. 행정의 최일선 조직으로서 가진 현장성, 기동성이라는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복지·문화 등 주민들의 행정수요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조직으로 기능을 하여야 함에도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 행정조직은 동회, 동사무소, 동 주민센터 등으로 그 이름이 바뀌어 왔다.
필자는 지난 1995년 전국 최초로 동사무소에 주민자치기능을 적용한 ‘동민의 집’을 운영한 바 있다. 그 경험과 지난 10년간 주민의 복지욕구 패러다임 변화를 담아 주민센터가 진정한 풀뿌리 조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변화를 선도해 나가고자 한다. 첫째, 주민센터는 주민들의 욕구에 빠르고 충실히 반응하는 조직이 되어야 한다. 행정 서비스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는 세분화·전문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민들의 연령별·주거유형별 수요를 고려하여 17개 동 주민센터를 복지문화형, 탁아복지형 등 6개 유형으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으며, 동에서 운영해온 새마을문고를 주민 수요를 반영하여 어린이도서관과 다문화 가족 도서관으로 전환하고 있다.
둘째, 주민센터는 사회 안전망의 보루가 되어야 한다. 홀몸 어르신, 한 부모가정, 다문화 가족, 장애인 등 복지대상의 욕구 수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선제적 복지서비스 조직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이에 성동구는 민원 올레길, 골목길 회의 등을 운영하고 있고 주민자치위원과 통·반장도 복지 전담요원으로 활동 중이다.
셋째, 주민센터는 정보 소통의 장이 되어야 한다. 주민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주민자치의 가장 기본적 임무다. 지방행정의 최일선 기관으로서 주민센터는 주민의 의사가 자치단체의 시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민심 수렴의 창구 구실을 수행해야 한다. 성동구는 주민센터가 이러한 가교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별로 주부기자단, 여성트위터단, 구정 모니터링단 등 소통의 매개체를 육성·운영하고 있다.
네 번째로 동 직능단체가 주민자치의 중심에 서야 한다. 각 동에서는 주민자치위원회, 새마을부녀회 등 여러 직능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과거에는 관변단체의 역할에 머물러 왔다면, 이제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성장하고 기능해야 한다. 성동구는 이들이 자치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한양대와 협약하여 운영 중인 주민자치대학원 등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이 지역사회 내 봉사조직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센터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자원봉사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성동구는 사람냄새 나는 동네방네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그 중심에 주민센터가 있기를 바란다.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작지만 탄탄한 마을에서 지역주민들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목민관이 되고 싶은 것이 민선 4선 구청장으로서의 소박한 꿈이다.
고재득 서울 성동구청장
그중 하나가 동 주민센터이다. 행정의 최일선 조직으로서 가진 현장성, 기동성이라는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복지·문화 등 주민들의 행정수요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조직으로 기능을 하여야 함에도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 행정조직은 동회, 동사무소, 동 주민센터 등으로 그 이름이 바뀌어 왔다.
필자는 지난 1995년 전국 최초로 동사무소에 주민자치기능을 적용한 ‘동민의 집’을 운영한 바 있다. 그 경험과 지난 10년간 주민의 복지욕구 패러다임 변화를 담아 주민센터가 진정한 풀뿌리 조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변화를 선도해 나가고자 한다. 첫째, 주민센터는 주민들의 욕구에 빠르고 충실히 반응하는 조직이 되어야 한다. 행정 서비스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는 세분화·전문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민들의 연령별·주거유형별 수요를 고려하여 17개 동 주민센터를 복지문화형, 탁아복지형 등 6개 유형으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으며, 동에서 운영해온 새마을문고를 주민 수요를 반영하여 어린이도서관과 다문화 가족 도서관으로 전환하고 있다.
둘째, 주민센터는 사회 안전망의 보루가 되어야 한다. 홀몸 어르신, 한 부모가정, 다문화 가족, 장애인 등 복지대상의 욕구 수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선제적 복지서비스 조직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이에 성동구는 민원 올레길, 골목길 회의 등을 운영하고 있고 주민자치위원과 통·반장도 복지 전담요원으로 활동 중이다.
셋째, 주민센터는 정보 소통의 장이 되어야 한다. 주민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주민자치의 가장 기본적 임무다. 지방행정의 최일선 기관으로서 주민센터는 주민의 의사가 자치단체의 시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민심 수렴의 창구 구실을 수행해야 한다. 성동구는 주민센터가 이러한 가교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별로 주부기자단, 여성트위터단, 구정 모니터링단 등 소통의 매개체를 육성·운영하고 있다.
네 번째로 동 직능단체가 주민자치의 중심에 서야 한다. 각 동에서는 주민자치위원회, 새마을부녀회 등 여러 직능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과거에는 관변단체의 역할에 머물러 왔다면, 이제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성장하고 기능해야 한다. 성동구는 이들이 자치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한양대와 협약하여 운영 중인 주민자치대학원 등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이 지역사회 내 봉사조직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센터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자원봉사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성동구는 사람냄새 나는 동네방네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그 중심에 주민센터가 있기를 바란다.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작지만 탄탄한 마을에서 지역주민들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목민관이 되고 싶은 것이 민선 4선 구청장으로서의 소박한 꿈이다.
2011-04-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