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외교관 친구야 파이팅!/김미경 정치부 기자

[지금&여기] 외교관 친구야 파이팅!/김미경 정치부 기자

입력 2012-01-07 00:00
수정 2012-01-07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축하한다. 이번에 유엔 나간다며?”

“응, 고마워.”

“그런데, 너 아기는 어떡해?”

이미지 확대
김미경 국제부 차장
김미경 국제부 차장
“어 그게, 남편이 못 나가니까 친정 엄마를 모시고 가게 됐어. 그러지 않으면 일하면서 키우기 어렵거든.”

“네 엄마도 고생하신다.”

외교통상부에서 1등 서기관으로 근무하는 대학 동창 친구와 최근 나눈 대화다. 14년째 외교관으로 왕성한 활동을 해온 친구는 몇년 전 한 재외공관에서 일하면서 결혼을 했고, 귀국과 동시에 애를 낳았다.

2년 만에 다시 공관 근무를 나가게 되면서 남편과 떨어져 젖먹이를 데리고 갈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됐다. 북미·북핵 등 주요 부서에서 근무해 온 친구이지만, 만날 때마다 우리의 대화는 여성 외교관이 처한 현실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난 5일 외교부의 신년 업무보고 뒤 열린 토론에서 한 여성 외교관이 이명박 대통령 앞에서 털어놓은 출산·육아의 고충이 화제가 됐다. 그는 잦은 공관 근무로 인해 가족과 떨어져 출산·육아를 해야 하는 현실을 털어놓으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외교도 중요하지만 출산·육아도 중요하다.”며 해결책을 찾아보자고 답했다.

그러나 외교부 내 전체적인 반응은 예상 외로 싸늘하다. 한 남성 외교관은 “여성 외교관이 늘어나면서 이들을 다 배려하면 누가 공관에 나가 고생하겠느냐.”며 형평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여성 외교관은 최근 몇년간 신입 외교관의 50%가 훌쩍 넘는 등 전체 직원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부부 외교관도 20여쌍에 이른다. 어학 등 경쟁력을 감안할 때 여성 외교관은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배려는 남성에 대한 역차별로 인식할 것이 아니라 한국 외교의 총체적 역량 강화를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

미국·유럽은 물론, 일본·중국 등도 부부 외교관 및 가임기 여성 외교관에 대한 배려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한국 외교가 더 성장하려면 여성 외교관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 없이는 어려울 것이다.

chaplin7@seoul.co.kr

2012-01-0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