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폭력의 제3지대/김진아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폭력의 제3지대/김진아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1-20 00:00
업데이트 2012-01-20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진아 사회부 기자
김진아 사회부 기자
지난 16일 대전 둔산동의 한 아파트에서 여고생 A(17)양이 투신했다. A양은 지난해 12월 반 친구였던 B(17)양이 집단따돌림에 괴로워하다 목숨을 끊자 그를 도와주지 못한 데 대한 자책감과 상실감 때문에 자살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B양의 자살 이후 A양은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는 등 정신적 고통을 이겨내기 위해 애썼지만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말았다. 죽음의 수렁에 빠져 버린 그의 진정성이 못내 안타까웠다.

13일 자 서울신문에 ‘학교폭력 주변 학생들도 트라우마’라는 기사가 실렸다. 주로 학교폭력의 피해 학생들에게 집중적인 심리치료가 이뤄지지만, 학교폭력에 직접 노출되지 않은 주변 학생들이 받는 스트레스도 크다는 내용이었다. 따돌림 당하던 친구가 자살한 충격 때문에 우울증에 걸린 중학생, 따돌림 당하는 친구를 도와줬다가 오히려 폭행을 당한 뒤 사람을 싫어하게 된 고등학생의 사례 등은 폭력이 당사자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기자의 그 기사가 게재된 뒤 사흘 만에 A양이 자살을 했다.

학교폭력은 정도의 차이일 뿐 항상 있어 왔던 일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누군가가 자살이라는 최악의 선택을 한 뒤에야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는다. 사람의 생각은 의외로 단순하다. 정책은 더 그렇다. 심리치료는 피해 학생에게나 필요한 처방이고, 벌은 가해 학생에게만 내려지면 된다고 믿는다. 그러나 폭력에는 엄연한 제3의 영역이 존재한다. 폭력 현장을 지켜봤거나 그 폭력에 맞서고 싶어도 그러지 못해 마음의 병을 앓는 ‘주변 학생’들이 그들이다.

지금 이 순간, 이런 자책감에 힘겨워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터놓고 말할 상대가 없어 더 괴롭거나, 문득 평온 속을 파고 드는 폭력의 기억 때문에 진저리 치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피해자’와 ‘가해자’라는 이분법적 폭력 인식의 그늘에서 그들이 앓고 있다. 폭력에 여린 속살을 베인 그들이 대책도 없이.

jin@seoul.co.kr

2012-01-20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