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아파트 건축에 공동체 사회학을 꿈꾼다/장수찬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

[지방시대] 아파트 건축에 공동체 사회학을 꿈꾼다/장수찬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

입력 2012-03-06 00:00
업데이트 2012-03-06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민국은 아파트 공화국이다.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서서 재테크의 핵심 상품이며, 우리의 삶의 표정을 규정하는 대표적인 공간이다. 인구의 9할이 도시에 거주하고 이 중 7할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한다. 이렇게 아파트가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에 대한 사회학은 없고 엔지니어링만 있으니 어처구니가 없다. 옆집에 누가 사는지 신경 끄고 사는 게 예의가 돼 버린 도시화 사회다. 이런 개인주의 사회에서 기술이 진화할수록 인간은 외로움과 불안감에 시달려야 한다. 아파트는 강풀의 만화, ‘아파트’처럼 차가운 근대의 외로운 섬이 됐다. 획일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웃과 인간이 교감하는 유토피아로 전환할 수 없을까. 아파트 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도시 삶을 재구성해 볼 수는 없을까.

이미지 확대
장수찬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
장수찬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
독일에서 도시공학은 사회학에서 다룬다. 그만큼 도시공간의 구성문제를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선 한국의 아파트 건축은 사회적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공간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아파트 단지는 현재의 병렬적 직선적 구조로부터 거주자들의 접촉이 왕성하게 일어나도록 전통적인 마을 공간을 닮은 타원형 구조로 재구성해야 한다. 아파트 단지의 병렬적 직선구조는 자본의 효율성만을 극대화하고 있다. 인간중심의 건축물로 아파트 단지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사회학이 개입해야 한다.

지역공동체는 주요 관심사항들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육아나 교육문제를 가지고 사회적 접촉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먹거리와 건강문제가 초미의 관심사항이 되기 때문에 생활협동조합 또한 중요하다. 피트니스와 같이 개인 활동을 장려하는 공간보다는, 북클럽 등 공동체 활동을 장려하는 소규모 공공도서관, 각종 취미생활을 위한 클럽하우스, 주민자치센터 등을 아파트 공간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학부모회는 교육공동체에서 지역 기초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공간구성에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가져야 한다. 실제로 대전에 있는 엑스포 아파트 단지는 가장 공동체 사회학의 개념이 가미된 아파트 단지이다.

1990년 초반에 독일건축가에 의해 설계된 엑스포 아파트단지는 타원형 마을공간을 닮아 있고, 클럽하우스, 학교, 노인회 공간 등을 적절히 배치해 놓고 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이 지역에서는 공동육아 협동조합, 마을어린이도서관, 학부모회, 바자회 등의 활동이 어느 지역보다 왕성하다.

어떻게 하면 아파트 건축과정에 사회학이 개입할 수 있는가. 한국이 IT 강국이 된 여러 가지 이유 가운데 하나는 정부의 아파트 건축규제를 통해 인터넷 케이블 설비를 강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 건축위원회 심의기준의 개정을 통해 공동체적 가치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땅히 심의위원회에 사회학자들이 초대돼야 한다. 기초 지역공동체 건설은 보수주의나 진보주의 모두의 관심사항이 돼야 한다. 따라서 지방정부 차원에서 아파트 건축과정에 대한 규제를 사회적으로 합의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운 과제로 보이지는 않는다. 아파트 유토피아를 꿈꾸는 것은 무리일까.

2012-03-06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