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변(詭辯)은 외견상 또는 형식상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 논거를 갖고 타인을 납득시키려는 논법이다.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Sophist)로부터 유래한다. 소피스트는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그리스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철학사상가이자 교사들이다.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논변술을 강조하였다.
소피스트가 등장한 시기는 그리스가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한 후 큰 번영을 누린 때이기도 하다. 아테네는 그리스의 중심지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으며, 아테네 상류층은 물질뿐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도 풍요로움을 누렸다. 그러한 사회 분위기는 점차 다른 계층에까지 확대되었고 교양 수준, 법정에서의 연설이 중요해졌다. 다양한 사상과 사람, 물자가 유입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법과 제도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자연스럽게 나왔다. 이에 따라 설득을 목적으로 한 웅변술에 능했던 소피스트들의 인기가 높아졌다.
‘지혜로운 사람’ 혹은 ‘현명하고 신중한 사람’을 뜻하는 소피스트라는 말은 본래는 현인이나 시인, 장인, 철학자들에게 존중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웅변술과 상대주의를 설파하는 강연이 인기를 누리면서 교육자를 뜻하는 말로 불렸다. 최초의 소피스트로 불리는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라는 말로 진리의 주관성과 상대주의를 이야기했다. 궤변학파는 처음에는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좋은 뜻이었으나, 후세에 이르러 목적을 위해 논리적인 규범을 무시하고 아무렇게나 둘러대는 좋지 않은 뜻으로 바뀌었다. 동양에서는 공손룡(公孫龍)의 ‘견백론’(堅白論)이나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 등이 궤변의 좋은 예로서 알려져 있다.
통합진보당에서 때아닌 궤변이 경쟁적으로 나오고 있다. 지난주 당권파인 김선동 의원은 비례대표 경선에서 뭉텅이표가 쏟아진 것과 관련, “풀이 다시 살아나서 다시 붙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며칠 전 당권파의 핵심인 이석기 당선자는 “전세계 어느 나라도 100% 완벽한 선거가 없다.”며 궤변 대열에 합류했다. 1950~60년대도 아닌 요즘 같은 때에 통합진보당 당권파처럼 대명천지(大明天地)에 부정선거를 대놓고 하는 문명국가나 정당은 없다. 이 당선자는 “당원이 선택한 후보는 사퇴할 권리가 없다.”고도 했다. 본인이 깨끗이 사퇴하면 될 일인데도, 당원을 핑계대는 것은 구차하다. 이 당선자의 말대로라면 1960년 3·15 부정선거로 하야한 고 이승만 전 대통령은 억울하겠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소피스트가 등장한 시기는 그리스가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한 후 큰 번영을 누린 때이기도 하다. 아테네는 그리스의 중심지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으며, 아테네 상류층은 물질뿐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도 풍요로움을 누렸다. 그러한 사회 분위기는 점차 다른 계층에까지 확대되었고 교양 수준, 법정에서의 연설이 중요해졌다. 다양한 사상과 사람, 물자가 유입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법과 제도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자연스럽게 나왔다. 이에 따라 설득을 목적으로 한 웅변술에 능했던 소피스트들의 인기가 높아졌다.
‘지혜로운 사람’ 혹은 ‘현명하고 신중한 사람’을 뜻하는 소피스트라는 말은 본래는 현인이나 시인, 장인, 철학자들에게 존중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웅변술과 상대주의를 설파하는 강연이 인기를 누리면서 교육자를 뜻하는 말로 불렸다. 최초의 소피스트로 불리는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라는 말로 진리의 주관성과 상대주의를 이야기했다. 궤변학파는 처음에는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좋은 뜻이었으나, 후세에 이르러 목적을 위해 논리적인 규범을 무시하고 아무렇게나 둘러대는 좋지 않은 뜻으로 바뀌었다. 동양에서는 공손룡(公孫龍)의 ‘견백론’(堅白論)이나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 등이 궤변의 좋은 예로서 알려져 있다.
통합진보당에서 때아닌 궤변이 경쟁적으로 나오고 있다. 지난주 당권파인 김선동 의원은 비례대표 경선에서 뭉텅이표가 쏟아진 것과 관련, “풀이 다시 살아나서 다시 붙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며칠 전 당권파의 핵심인 이석기 당선자는 “전세계 어느 나라도 100% 완벽한 선거가 없다.”며 궤변 대열에 합류했다. 1950~60년대도 아닌 요즘 같은 때에 통합진보당 당권파처럼 대명천지(大明天地)에 부정선거를 대놓고 하는 문명국가나 정당은 없다. 이 당선자는 “당원이 선택한 후보는 사퇴할 권리가 없다.”고도 했다. 본인이 깨끗이 사퇴하면 될 일인데도, 당원을 핑계대는 것은 구차하다. 이 당선자의 말대로라면 1960년 3·15 부정선거로 하야한 고 이승만 전 대통령은 억울하겠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2012-05-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