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영리병원 논란과 치매/김민배 인천발전연구원장

[지방시대] 영리병원 논란과 치매/김민배 인천발전연구원장

입력 2012-05-22 00:00
업데이트 2012-05-22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망령, 노망’. 행동이나 말이 이상한 노인들을 가리키던 말이다. ‘벽에다 ×칠할 때까지 오래 살아라.’고 비아냥대던 소리도 있었다. 그런데 그것이 얼마나 무서운 저주의 말이었던가를 새삼 느끼고 있다. 두 경우 정황은 다르지만 모두 치매를 일컫는 말이기 때문이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망령과 노망이 치매라는 질병으로 등록되었다고 한다. 20년 전, 아버지와 사별 후 홀로 계시던 어머니에게 어느 날 안개처럼 질병이 찾아들었다. 암으로 먼저 가신 남편과 사별 후의 외로움과 자식들에 대한 걱정이 더 많았기 때문이었을까. 치매임을 짐작했지만 말을 꺼내기가 두려웠다. 어머니의 초기 이상행동에 대해 주변 어른들과 자식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가족이 감당하기 어려운 질병이므로 병원이나 요양원에 모셔야 한다는 의견과 그곳에 보내는 것은 불효라는 의견이 팽팽했다.

김민배 인천발전연구원장
김민배 인천발전연구원장
병원 입원을 거부하던 어머니는 정작 자신이 치매라는 사실을 모른 채 요양원에서 불편한 다리 치료에 더 신경을 쓰셨다. 깔끔하게 인생을 정리하고 싶다던 은사님의 얼굴도 떠올랐다. 차라리 암으로 임종을 맞고 싶다는 어른의 말씀도 생각났다. 사람들은 암이 무섭다고 하지만 가족들에게는 치매가 더 무서운 질병으로 다가온다. 돌이켜보면 암으로 돌아가신 아버지는 투병과 일시적인 건강회복 과정을 통해 가족에게 죽음에 대비할 시간을 주었다. 그래서일까. 가족도, 친구도, 세상도 구별하지 못한 채 인생을 마감해야 하는 치매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다.

지난 2008년 7월부터 ‘노인 장기요양 보험’이 시행된 후 전국적으로 치매요양원과 요양병원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요양원은 4082개이다. 요양병원도 2004년에 비해 무려 7배 이상 늘어났다. 그 가운데 지원금만 노리는 엉터리 요양원도 가세했다. 노인과 치매 환자가 ‘봉’이 되고, 요양원이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치매 정복을 향한 지자체 정책은 없고, 요양치료의 명분으로 환자들이 보험사업의 대상이 된 현실이 서글프다.

그런데도 영리병원과 의료관광, 그리고 바이오산업이 장밋빛으로 포장되고 있다. 정작 110만명이 넘는다는 우리나라의 파킨슨병과 치매 환자들의 근본적 치료대책은 미비하다. 최근 미국이 치매와의 전쟁을 선언했다. 2025년까지 알츠하이머 예방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가족공동체를 붕괴시키고 있는 치매라는 질병 퇴치에 국가 차원에서 나선 미국의 정책이 부럽다.

인천에서는 영리병원 설립을 둘러싼 논쟁이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다. 경제자유구역의 활성화와 외국인 그리고 의료관광 등을 위해 설립해야 한다는 입장과 의료보험 체계를 근본적으로 파괴한다는 반대 논리가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민들이 이용하는 시립인천의료원은 지원 부족으로 적자이고, 제2의료원 건립은 엄두고 내지 못하고 있다. 영리병원 건립과 운영에 필요하다는 수천억원의 인센티브에 대해서도 시선이 곱지 않다.

영리병원이나 의료관광의 주체라는 외국인을 생각하기 전에 시민을 우선하는 마음이 필요한 때다. 의료산업을 내세워 언제까지 환자와 국민을 돈벌이와 투자의 대상으로 전락시킬 것인가. 시민들은 영리병원과 의료관광의 성공신화보다 암 치유의 기적처럼 치매를 정복했다는 의학의 기적을 보고 싶어 한다.

2012-05-22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