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아시안게임 유치 5년 눈물나는 인천시/김학준 사회2부 차장

[오늘의 눈] 아시안게임 유치 5년 눈물나는 인천시/김학준 사회2부 차장

입력 2012-05-23 00:00
수정 2012-05-23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학준 메트로부 차장급
김학준 메트로부 차장급
2007년 4월, 인천이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로 축제 분위기일 때 평창은 가슴을 죄고 있었다.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을 3개월 앞둔 시점에서 아시안게임이 평창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었다. 국제대회를 한 나라에 몰아주지 않는 것이 국제 스포츠계의 관행이기에, 인천이 아시안게임 유치전에 뛰어들었을 때부터 평창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아시안게임은 이미 서울, 부산에서 두번이나 치른 터여서 국민적 관심도 별로였다.

하지만 인천은 대회 유치에 전력을 다해 성공을 거두었고, 평창은 결국 눈물을 흘렸다. 러시아 소치에 불과 4표차로 밀려 아쉬움은 더했다.

전문가들은 평창 패배의 직접적 요인을 아시안게임으로 간주했지만 민감한 문제라 공론화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평창은 3수를 한 끝에 보란 듯이 웃었다.

역설적이게도 이제는 인천이 아시안게임으로 인해 눈물을 흘려야 하는 상황이다. 인천시 재정난의 주범은 아시안게임과 인천지하철 2호선이다. 둘의 사업비가 4조 6000억원을 넘는다. 그러나 몸통은 아시안게임이다. 지하철 2호선은 2018년 개통 예정이었지만, 아시안게임에 맞추기 위해 2014년으로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아시안게임은 시민단체들이 반납을 주장할 정도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한 시민단체 대표는 “2주간의 잔치로 발생하는 부채 때문에 인천이 15년간 허덕일 순 없다.”라는 말까지 했다. 대회 유치로 지역사회가 환호하던 때가 불과 5년 전이다. 인천시는 대회 준비에 이미 8000억원이 투입돼 반납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하지만, 전임 시장 책임론이 제기되는 등 사정이 복잡하다.

국제대회 유치욕이 상대 지자체에 ‘칼’이 되고, 자신에게는 ‘부메랑’이 되는 상황이다. 국제행사 유치 편익이 과장된 경우도 적지 않다. 민선 단체장들이 혈안이 돼 추진하는 국제대회 유치를 국가 차원에서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유치활동에 앞서 정부가 정밀한 검토를 거친 후 종합적인 조율을 해나가야만 해괴한 ‘반전’이 되풀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kimhj@seoul.co.kr

2012-05-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