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경기에서는 심판의 오심이 가끔 나온다. 넓은 그라운드에서 펼쳐지는 축구에서 오심이 많은 편이지만, 다른 종목도 크게 다를 게 없다.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는 말이 있지만, 오심으로 경기의 맥은 끊기고 분위기도 바뀐다.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라 심판이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판단 잘못으로 오심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라면 전지전능할 수 없는 심판의 책임이라기보다는, 반칙이거나 잘못인 것을 잘 알고 있는 선수의 양심과 양식의 문제다. 하지만 오심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심판이라면 심판의 자격은 물론 사람의 자격도 없다.
축구에서 대표적인 오심은 지난 1986년 멕시코 월드컵 당시 아르헨티나와 잉글랜드의 8강전에서 나왔다. 아르헨티나의 ‘악동’으로 불렸던 디에고 마라도나는 잉글랜드 문전으로 넘어온 볼을 향해 골키퍼와 함께 공중으로 솟아오른 뒤 손으로 밀어넣었다. 문전 가까이 있던 선심은 파울이라는 뜻으로 기를 높이 들었지만, 이를 제대로 보지 못한 주심이 골로 인정했다. 아르헨티나는 잉글랜드를 2대1로 제압했다. 손으로 골을 넣어 ‘신의 손’이라는 별명을 얻은 마라도나는 파울을 할 당시에는 침묵을 지키다 2005년 스웨덴 TV와의 인터뷰에서 “무의식 중에 손으로 공을 밀어넣었다.”고 털어놓았다. 아르헨티나는 결승에서 서독(현 독일)까지 누르고 우승했다. 심판의 오심보다는 마라도나의 양심불량으로 우승했다고 보는 게 맞다.
정부가 수립된 뒤 우리나라 선수들이 처음으로 출전한 올림픽은 1948년의 런던올림픽이다. 태극기를 들고 출전한, 가슴에 태극마크가 선명한 유니폼을 입고 출전한 선수들의 감격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로부터 64년 만에 런던에서 다시 열린 2012 런던올림픽을 맞아 선수들의 감회도 남다를 것이다. 제대로 먹을 것도 없었던 신생독립국의 선수가 아니라, 이제는 세계 10위권인 경제강국의 선수로 위상과 신분이 높아졌다.
그러나 대회 첫날 수영 자유형 400m 예선에 출전한 박태환 선수에 대한 부정출발 오심에 이어, 유도 66㎏급의 조준호 선수에 대해서는 판정 번복이라는 이해 못할 일도 벌어졌다. 어제는 여자 펜싱 에페 준결승에서 앞서가던 신아람 선수가 전광판 시계가 1초에서 오랫동안 멈춰선 ‘고무줄 1초’로 울음을 삼켜야 했다. 2012 런던올림픽은 우리 선수들과 국민들에게는 ‘오심 올림픽’, ‘오심 종합세트 올림픽’으로 오랫동안 기억되지 않을까.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축구에서 대표적인 오심은 지난 1986년 멕시코 월드컵 당시 아르헨티나와 잉글랜드의 8강전에서 나왔다. 아르헨티나의 ‘악동’으로 불렸던 디에고 마라도나는 잉글랜드 문전으로 넘어온 볼을 향해 골키퍼와 함께 공중으로 솟아오른 뒤 손으로 밀어넣었다. 문전 가까이 있던 선심은 파울이라는 뜻으로 기를 높이 들었지만, 이를 제대로 보지 못한 주심이 골로 인정했다. 아르헨티나는 잉글랜드를 2대1로 제압했다. 손으로 골을 넣어 ‘신의 손’이라는 별명을 얻은 마라도나는 파울을 할 당시에는 침묵을 지키다 2005년 스웨덴 TV와의 인터뷰에서 “무의식 중에 손으로 공을 밀어넣었다.”고 털어놓았다. 아르헨티나는 결승에서 서독(현 독일)까지 누르고 우승했다. 심판의 오심보다는 마라도나의 양심불량으로 우승했다고 보는 게 맞다.
정부가 수립된 뒤 우리나라 선수들이 처음으로 출전한 올림픽은 1948년의 런던올림픽이다. 태극기를 들고 출전한, 가슴에 태극마크가 선명한 유니폼을 입고 출전한 선수들의 감격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로부터 64년 만에 런던에서 다시 열린 2012 런던올림픽을 맞아 선수들의 감회도 남다를 것이다. 제대로 먹을 것도 없었던 신생독립국의 선수가 아니라, 이제는 세계 10위권인 경제강국의 선수로 위상과 신분이 높아졌다.
그러나 대회 첫날 수영 자유형 400m 예선에 출전한 박태환 선수에 대한 부정출발 오심에 이어, 유도 66㎏급의 조준호 선수에 대해서는 판정 번복이라는 이해 못할 일도 벌어졌다. 어제는 여자 펜싱 에페 준결승에서 앞서가던 신아람 선수가 전광판 시계가 1초에서 오랫동안 멈춰선 ‘고무줄 1초’로 울음을 삼켜야 했다. 2012 런던올림픽은 우리 선수들과 국민들에게는 ‘오심 올림픽’, ‘오심 종합세트 올림픽’으로 오랫동안 기억되지 않을까.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2012-08-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