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잠수종과 나비/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문화마당] 잠수종과 나비/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입력 2012-08-23 00:00
수정 2012-08-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잠수종과 나비’(The Diving Bell and the Butterfly, 줄리앙 슈나벨, 2008)라는 프랑스 영화가 있다. 세계적 패션매거진 엘르의 편집장 출신 장 도미니크 보비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 것이다. 보비는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의식은 있으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을 앓았다. 왼쪽 눈 외에는 전혀 움직일 수 없어 말 그대로 자신의 신체 속에 ‘감금’된 형국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언어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보비는 ‘잠수복과 나비’라는 책을 완성하고, 출간 후 10일 만에 세상을 떠난다.

이미지 확대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왼쪽 눈밖에 움직일 수 없었던 보비가 어떻게 책을 완성했을까? 답은 바로 그의 왼쪽 눈에 있다. 보비는 왼쪽 눈의 깜박거림으로 의사전달을 했던 것. 그는 15개월간 20만번의 왼쪽 눈 깜박거림으로 130쪽에 달하는 책(‘잠수복과 나비’)을 완성한 것이다.

장 도미니크 보비가 눈 깜박임으로 의사표시와 전달을 할 수 있기까지, 그리고 책을 마치기까지 얼마나 힘겨운 시간들을 견뎌내야 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영화는 신체의 고통보다 의식은 자유로운데 신체는 갇혀 있어 더욱 견디기 힘든 정신의 고통에 더 할애한다. 눈 깜박임으로 언어치료사와 의사소통을 했을 때 가장 먼저 전달된 내용은 ‘죽고 싶다.’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불행에 굴복하지 않고 ‘잠수종에 갇혀 꼼짝할 수 없는’ 자신의 신체를 극복하여 ‘나비’처럼 자유로운 영혼에 이르게 된다.

얼마 전 폐막한 런던올림픽은 참가 선수들의 눈물과 땀이 밴 박진감 넘치는 경기로 그 어느 때보다 재미와 감동과 행복을 안겨주었다. 우리 선수들의 놀라운 선전은 밤잠을 잊고 TV를 지켜보게 만들었다. 그러나 내게 런던올림픽에서 가장 경이로웠던 장면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육상선수 오스카 피스토리우스가 육상트랙을 달릴 때였다. 400m 준결승에 진출한 그가 블레이드 의족을 착용하고 달리는 모습은 자신의 한계를 정하고 그 안에 머물거나 혹은 좌절하는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비(非)장애인들에게는 충격이었다. 생후 11개월부터 무릎 아래를 절단하고 의족을 착용한 채 살았던 그가 올림픽 경기장에 서기까지 통과해 왔을 그 수많은 땀과 눈물의 시간들을 생각해 보면 그가 최선을 다해 트랙을 뛸 때 인간의지의 위대함을 새삼 떠올리게 된다. “패배자는 결승선을 마지막으로 통과하는 사람이 아니라 달려보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이다.”라고 아들을 북돋워 주었던 피스토리우스의 어머니나 책 ‘스물넷의 질주’에서 “나는 인생이 나에게 거스름돈을 덜 준 것 같은 억울한 기분을 느끼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피스토리우스에게서 담대하고 긍정적인 에너지 또한 신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삶에 도전하게 한 자양분이었음을 발견한다.

최근 사고로 두 팔과 두 다리를 절단한 필립 크루아종이라는 프랑스 중년 남성이 헤엄쳐 베링해협을 건넌 것에서 불굴의 의지가 만들어낸 기적과 희망을 다시 한 번 목격할 수 있었다. 그는 인터뷰에서 “불가능한 것은 없다. 우리에게 어떤 일이 벌어졌든, 우리는 인생에서 모든 것을 해낼 수 있다.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우리는 똑같다. 차이가 없다.”라고 당당하게 말했다. 그 역시 죽고 싶었던 순간들을 이겨내고 의지의 승리를 보여준 것이다.

사람이 위대한 것은 여러 측면에서 거론될 수 있겠지만, 내가 감동하는 경우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흘린 땀과 눈물을 발견할 때이다. 그것은 주어진 환경이나 여건이 어려울수록 더욱 빛을 낸다. 장 도미니크 보비가 자신의 신체적 한계를 무릅쓰고 영혼을 자유롭게 했듯이, 오스카 피스토리우스가 의족을 끼고 뛰는 것만도 벅찰 텐데 비장애인 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해 부단히 도전해 왔듯이, 필립 크루아종이 사지 절단 상태에서 보조장치와 오리발을 낀 채 수영으로 거칠고 험한 베링해협 횡단에 뛰어들었듯이 ‘잠수종’에 갇혀 있는 게 아니라 ‘나비’가 되어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그들을 보는 것만으로 사람(정신)의 위대함에 고개 숙이게 된다. 어느 땐가 사는 것이 힘겨울 때 그들에게서 다시 희망을 볼 수 있지 않을까.

2012-08-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