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란주점이란 1994년에 생긴 유흥업종이다. 당시 상류층의 음주문화로 자리 잡은 룸살롱으로 말미암은 상대적 박탈감이 문제가 되자 서민들도 값싸고 건전하게 술을 마시게 하자는 취지에서 새로운 업종을 만들었다. 주거지역으로 입지를 확대했고, 영업장의 조명도 더 어둡게 조정해 주었다. 칸막이 설치도 허용했다. 한마디로 칸막이가 쳐진 장소에서 술을 마시며 노래를 부를 순 있지만, 여성종업원의 접대는 받을 수 없도록 한 술집이다. 룸살롱의 아류이자, 대중화라고 볼 수 있다. ‘단란’이란 명칭의 유래는 알 길이 없다.
단란주점의 경쟁업소인 룸살롱, 카바레업주들이 중심이 된 유흥음식점중앙회에서 “단란주점 영업 규제완화가 도입취지와 어긋난다.”면서 이를 철회해 줄 것을 요구한 기사가 1996년 9월 도하 여러 신문에 실렸다. 단란주점의 진입 이후 본래 유흥주점의 장사가 잘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실제 단란주점은 1994년 2월 4540곳에서 2009년 1만 5700곳으로 늘어났다. 지금도 유흥주점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노래방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등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 근대 술자리 문화는 일본식 요정(料亭)에서 비롯됐다. 1960~70년대 청운각·대원각·삼청각 등 요정 3각과 오진암이 이름을 날렸다. 1970년대 후반 200여곳의 대규모 관광요정이 외국인을 상대로 ‘기생관광’ 시대를 열었으며 1980년대 이후 룸살롱을 중심으로 한국식 접대문화가 전성기를 누렸다. 이런 한국식 밤 문화가 오늘날 세계 곳곳에 한류와 K팝을 전파했다는 주장도 있다.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동남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 퍼진 한국식 노래방 ‘K-TV’는 사실상 단란주점이라는 것을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단란히 마시는 술집도 가 보셨어요?) 안 교수=아뇨 뭐가 단란한 거죠? (단란하게 노래하면서 술 마시는…) 안 교수=예? 노래방? (노래방인데 도와주시는 분이 있는) 안 교수=…” 안철수 교수가 2009년 무릎팍도사 프로그램에 출연해 발언한 내용의 진위가 도마에 올랐다. 당시 방송을 보면 안 교수는 단란주점에 가본 경험이 없다고 표현한 것처럼 들린다. 그런 안 교수가 함께 술을 마셨거나 유흥주점에 간 적이 있다는 사람들의 폭로가 잇따르자 말을 바꿨다. 1998년 이전엔 유흥주점에서 술을 마셨고, 이후엔 동석은 했지만 술은 안 마셨다는 내용이다. 현자(賢者)는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을 세상에 남겼다. 단란주점에 칸막이는 있지만, 비밀은 없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단란주점의 경쟁업소인 룸살롱, 카바레업주들이 중심이 된 유흥음식점중앙회에서 “단란주점 영업 규제완화가 도입취지와 어긋난다.”면서 이를 철회해 줄 것을 요구한 기사가 1996년 9월 도하 여러 신문에 실렸다. 단란주점의 진입 이후 본래 유흥주점의 장사가 잘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실제 단란주점은 1994년 2월 4540곳에서 2009년 1만 5700곳으로 늘어났다. 지금도 유흥주점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노래방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등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 근대 술자리 문화는 일본식 요정(料亭)에서 비롯됐다. 1960~70년대 청운각·대원각·삼청각 등 요정 3각과 오진암이 이름을 날렸다. 1970년대 후반 200여곳의 대규모 관광요정이 외국인을 상대로 ‘기생관광’ 시대를 열었으며 1980년대 이후 룸살롱을 중심으로 한국식 접대문화가 전성기를 누렸다. 이런 한국식 밤 문화가 오늘날 세계 곳곳에 한류와 K팝을 전파했다는 주장도 있다.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동남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 퍼진 한국식 노래방 ‘K-TV’는 사실상 단란주점이라는 것을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단란히 마시는 술집도 가 보셨어요?) 안 교수=아뇨 뭐가 단란한 거죠? (단란하게 노래하면서 술 마시는…) 안 교수=예? 노래방? (노래방인데 도와주시는 분이 있는) 안 교수=…” 안철수 교수가 2009년 무릎팍도사 프로그램에 출연해 발언한 내용의 진위가 도마에 올랐다. 당시 방송을 보면 안 교수는 단란주점에 가본 경험이 없다고 표현한 것처럼 들린다. 그런 안 교수가 함께 술을 마셨거나 유흥주점에 간 적이 있다는 사람들의 폭로가 잇따르자 말을 바꿨다. 1998년 이전엔 유흥주점에서 술을 마셨고, 이후엔 동석은 했지만 술은 안 마셨다는 내용이다. 현자(賢者)는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을 세상에 남겼다. 단란주점에 칸막이는 있지만, 비밀은 없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2-08-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