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상도 문화부 기자
애초 이번 대회에 쏠린 국내 문단의 기대는 남달랐다. 국내에선 1970년과 1988년에 이어 세 번째 열린 것이지만, 민간 주도는 처음이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 보니 이번 대회도 무늬만 ‘민간’이었다. 한국작가회의 등 비판적 문학단체에 차례로 지원비를 끊던 문화체육관광부는 통 크게 7억원의 국비를 쐈다. 부대행사 경비는 경주시가 떠안았다. 국제행사에 지원하는 것을 놓고 문제 삼을 수 없지만, 이 돈이 제대로 쓰였는지에 대해선 말이 많았다.
한국본부는 ‘최초로’ 3명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참석시키기 위해 베팅에 나섰다. 2000만원을 웃도는 기본 초청료에 왕복 항공권과 고급 호텔 숙박까지 1인당 3000만원이 넘는 돈을 쏟아부었다. 일부 수상자는 여자 친구의 여행 비용까지 요구하다가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리한 초청 탓인지 터키의 오르한 파무크(2006년 수상)는 대회 책자에 사진과 이름까지 올린 상태에서 불참했다. 또 개막식에선 참가자 700여명이 특급호텔의 만찬을 즐기는 호사를 누렸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젊고 패기 넘친 작가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펜대회는 끊임없이 혁신을 앞세워야 했으나 주최 측인 한국본부는 망명 북한 펜센터의 가입을 홍보하는 데에만 열을 올렸다. 국내의 비판적 문화·예술 단체에 대한 정부의 탄압에는 끝내 침묵했다. 오히려 이념의 벽은 높아졌다. 일부 탈북작가는 기자에게 민주통합당의 한 여성의원을 가리켜 “북측의 조종을 받고 있는 게 확실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역의 틀에 갇힌 미숙한 운영은 24년 만의 국내 개최 의미까지 퇴색시켰다. 펜클럽이 배고프지만 강직한 문인들의 대표가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문학·미디어·인간의 권리’를 내세운 대회 표어를 흉내내려는 노력이라도 펼쳐야 했다.
sdoh@seoul.co.kr
2012-09-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