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문화가 있는 날’에 없는 것/최여경 문화부 차장

[데스크 시각] ‘문화가 있는 날’에 없는 것/최여경 문화부 차장

입력 2014-01-24 00:00
수정 2014-01-24 0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여경 문화부 차장
최여경 문화부 차장
다음 주 수요일(29일)이면 올해 첫 문화정책을 경험하게 된다. 이름하여 ‘문화가 있는 날’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내세운 4대 국정 기조 중 하나인 ‘문화융성’ 정책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가 매월 마지막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날’로 정했다. 국립공연장의 공연을 할인받거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문체부는 최근 이런 내용의 프로그램을 발표하면서 “민간 분야 참여도 두드러진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내세운 것이 영화다. 롯데시네마, CJ CGV 등은 오후 6~8시에 상영하는 영화 관람료를 3000원 저렴한 5000원으로 낮췄다고 했다. 퇴근길에 영화 한 편 즐기라는 말이다. 보고 싶은 영화가 있던 터라 문체부가 제공하는 문화 포털에 들어가 확인해봤다. 웬걸, 그 시간에 볼 수 있는 영화는 애니메이션 한편 뿐이었다. 요즘 화제가 된 영화는 상영표에 없다. 일부 극장은 그 날짜 일정을 올리지도 않았다. 더 많은 관람객이 이 시간에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머리를 짜내느라 늦을 것이라는 기대로 일단 창을 닫았다.

최근 정부 고위 관계자를 만나 ‘문화가 있는 날’에 대한 설명을 들은 적이 있다. 얼굴에 한껏 뿌듯함이 서려 있었다. 그는 문체부 말과는 달리 민간 분야의 참여가 저조해 아쉽다고 했다. 정부가 포털사이트를 만들어 통합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는 말에 솔깃했다. 마케팅과 홍보에 비용을 많이 들일 수 없는 소규모 공연단체에는 대신 공연을 알릴 수 있는 길이라는 생각이 퍼뜩 들었기 때문이다. 그때 이후 공연계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문화가 있는 날’에 대한 참여를 독려했다.

하지만 그들의 반응은 의외였다. 일단 무슨 정책인지 모르고 있었다. 설명을 한 뒤에는 이런 대답이 돌아왔다. “우린 이미 충분히 할인을 하고 있어요.” 한 소극장 대표의 설명은 이랬다. “대형 뮤지컬이 아닌 다음에야 사람들이 지갑을 열지 않으니 손해를 보더라도 티켓 값을 최저수준으로 정하는데, 이마저도 카드 할인이다 뭐다 해서 30% 정도는 이미 할인하고 있거든요. 정부 지원을 받는 기관은 할인할 수 있을지 몰라도 우리는 할인하면 망해요.”

대규모 공연장의 대표는 또 다른 고민이 있었다. 참여해달라는 말은 들었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하다는 것이다. 이미 공연 티켓을 예매한 사람들이 있으니 티켓 할인은 할 수 없고, 그렇다고 특별히 그날을 위해 진행 중인 공연을 멈추고 다른 공연을 올릴 수도 없는 것이다.

취지는 좋지만 정책 체감도는 모두가 달랐다. 이런 간극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계속 문제가 됐던 소통의 부재가 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닐까. 정책을 내놓기에 앞서 문화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얘기를 듣는다면, 그들 모두가 아니라 자본에 소외되고 관객에 외면받는 이들의 얘기에 조금만 귀를 기울인다면 ‘문화가 있는 날’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경험을 주는 바탕이 되지 않을까.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의 교육·학술 책임자 파블로 엘게라는 저서 ‘사회참여 예술이란 무엇인가’에서 “모든 예술은 관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참여를 전제로 한다.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현실적인 목표와 범위를 확실하게 설정하지 못하면 참여를 이어나가도록 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자리를 마련했는데도 참여하지 않는다고 울상일 것이 아니라 과연 참여할 여지를 제대로 주었는지 먼저 생각해볼 일이다.

cyk@seoul.co.kr
2014-01-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