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명의 어린 학생들을 포함한 승객들을 침몰하는 세월호 속에 그대로 방치한 채 제 한 목숨 살기 위해 선원임을 포기하고 해경 구조선에 올랐던 이준석 선장을 비롯한 세월호 선원들의 비정함에 우리는 치를 떨며 분노했다. 최소한의 양심은 물론 직업의식까지 실종된 그들은 분명 준엄한 법의 심판을 받아야만 마땅하다. 그런데 여기, 이들과는 전혀 판이하게 선원의 표상을 보여준 인물이 있다. 아내와의 마지막 통화에서 “아이들을 구하러 가야 한다”며 침몰하는 배 안으로 다시 들어갔던 세월호 사무장 양대홍씨다. 검경합동수사본부가 이 선장 등 몰인간적인 선원 15명을 살인 등 혐의로 구속기소한 그제 양씨는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침몰 한 달 만이다. 세월호 3층 중앙 선원식당에서 발견된 양씨는 검은색 작업복 차림에 ‘사무장’이라고 쓰인 무전기를 그대로 들고 있었다고 한다. 이 선장 등은 절체절명의 위기를 알리는 무전기 속 양씨의 외침을 애써 못 들은 척 구조선에 올랐을지도 모를 일이다.
양씨는 세월호가 침몰하던 지난달 16일 오전 10시 3분 아내와 마지막 통화를 나눴다. 당시 세월호는 거의 90도 수준으로 기울어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으로 치닫고 있었다.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듯 아내에게 “수협 통장에 돈이 있으니까 큰놈 등록금으로 써”라고 말한 뒤 아이들을 구하러 가야 한다며 전화를 끊었다.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세월호 아르바이트생과 조리 담당 직원, 그리고 많은 학생들이 그의 도움으로 탈출했으나 정작 그는 마지막까지 자신의 임무인 승객 구조에 최선을 다하다 배와 함께 가라앉고 말았다. 마치 동요하는 승객들을 어린아이와 여자, 남자 순서로 탈출시키고 배와 운명을 같이한 타이태닉호 선장 에드워드 존 스미스를 연상시키는 진정한 선원의 모습을 보여줬다. 아니, 양씨야말로 세월호의 진정한 선장이라 할 만하다.
한 명의 학생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서슴없이 구명조끼를 양보한 박지영씨, 학생들을 구하기 위해 다시 선실로 돌아간 아르바이트생 김기웅씨와 매니저 정현선씨, 그리고 한 달 만에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온 사무장 양씨 등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기에 그나마 150여명의 승객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배의 운항을 책임져야 할 선장과 선박직 선원들이 버린 선원의 의무를 승무직 선원들과 아르바이트생이 지켜낸 것이다. 박씨와 김씨, 정씨와 마찬가지로 양씨 역시 조속히 의사자로 지정, 직업의식과 책임감을 다한 ‘참 선원’의 표상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다.
양씨는 세월호가 침몰하던 지난달 16일 오전 10시 3분 아내와 마지막 통화를 나눴다. 당시 세월호는 거의 90도 수준으로 기울어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으로 치닫고 있었다.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듯 아내에게 “수협 통장에 돈이 있으니까 큰놈 등록금으로 써”라고 말한 뒤 아이들을 구하러 가야 한다며 전화를 끊었다.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세월호 아르바이트생과 조리 담당 직원, 그리고 많은 학생들이 그의 도움으로 탈출했으나 정작 그는 마지막까지 자신의 임무인 승객 구조에 최선을 다하다 배와 함께 가라앉고 말았다. 마치 동요하는 승객들을 어린아이와 여자, 남자 순서로 탈출시키고 배와 운명을 같이한 타이태닉호 선장 에드워드 존 스미스를 연상시키는 진정한 선원의 모습을 보여줬다. 아니, 양씨야말로 세월호의 진정한 선장이라 할 만하다.
한 명의 학생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서슴없이 구명조끼를 양보한 박지영씨, 학생들을 구하기 위해 다시 선실로 돌아간 아르바이트생 김기웅씨와 매니저 정현선씨, 그리고 한 달 만에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온 사무장 양씨 등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기에 그나마 150여명의 승객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배의 운항을 책임져야 할 선장과 선박직 선원들이 버린 선원의 의무를 승무직 선원들과 아르바이트생이 지켜낸 것이다. 박씨와 김씨, 정씨와 마찬가지로 양씨 역시 조속히 의사자로 지정, 직업의식과 책임감을 다한 ‘참 선원’의 표상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다.
2014-05-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