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장수 CEO의 비결/박종원 코리안리재보험 사장

[CEO 칼럼] 장수 CEO의 비결/박종원 코리안리재보험 사장

입력 2010-08-02 00:00
업데이트 2010-08-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종원 코리안리재보험 대표이사 사장
박종원 코리안리재보험 대표이사 사장
지난주에 회사 로비에서 뜻 깊은 행사가 있었다. 필자의 5연임을 축하해 주기 위해 직원들이 조촐한 다과회를 마련했다.

12년간 같이 지내다 보니 임직원 신상은 물론이고 그들의 소소한 일상까지 낱낱이 알고 있는데, 이날 직원들이 보내온 카드에 쓰인 ‘아버지 같다.’, ‘함께 종주한 백두대간이 잊히지 않는다.’는 등의 문구를 일일이 읽다 보니 최고경영자(CEO)와 직원의 관계를 떠나 가족 또는 선배의 입장이 되어 가슴 뭉클한 느낌도 들었다.

사실 그동안 5연임에 대해 언론의 조명을 많이 받았다. 물론 개인적으로도 대단한 영광이지만 이건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필자가 먼저 한발 들여놓은 ‘5연임’은 우리 사회·경제 환경 변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야 할 당위성이 많이 제기되었고, 실제로 오너가 경영을 일일이 총괄할 수 없는 대그룹들을 중심으로 스타급 CEO들이 맹위를 떨치며 기업의 역량을 키워온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자본이 아니고 전문성과 실력, 그리고 성과로 평가받는 전문 경영인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스타 CEO’의 등장에 이어 필자 같은 ‘장수 CEO’의 등장도 그 선상에서 보면 필연적인 추세라 할 것이다.

필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아예 CEO 시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각 산업별로 우수한 CEO 후보군(群)이 존재하고, 회사를 키울 생각이 있는 자본가라면 천금을 주고서라도 좋은 CEO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렇게 공들여서 우수한 CEO를 영입한 회사는 본전을 뽑고도 남을 만큼 크게 발전하고, 이에 자극받아 더 좋은 예비 CEO들이 양산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어야 한다.

불과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 금융산업 하면 떠오르는 것은 ‘관치’였고, 그 대표적인 것이 정부가 인사권을 쥐고 흔들면서 각종 장벽으로 보호해 주던 관행이었다. 겉보기엔 공생관계 같지만 결국 경쟁의 사각지대를 찾아 숨어들던 공멸의 관계였고, 그 결과 우리 금융기업들은 우물 안 개구리가 되어 국제 경쟁에서 뒤처졌다. 낙하산을 타고 내려온 사장에게 전문성을 기대하기는 힘들었고, 의욕적으로 일 좀 해 보려고 해도 1~3년 후에는 다음 사람을 위해 짐을 싸야 했다. 그러다 보니 새 직장을 알아보느라 경영에 전념할 틈이 없었던 것이 우리나라 CEO들의 슬픈 자화상이었다.

주주로서도 CEO를 전폭적으로 믿고 경영을 맡길 수 없어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환경변화에 제때 대처하지 못해 경영 위험을 초래하곤 했다. 글로벌 스탠더드에 비춰본 한국 기업의 경영권 행태는 목불인견(目不忍見)이었고, 우리 스스로도 새로운 틀이 절실함을 느끼게 되었다.

이후 전문경영인의 시대가 열렸지만 CEO들은 단기 성과에 집착하여 무리하게 경영을 확장하다가 실패하는 경우도 있었고, 뜻을 펼쳐 보이기도 전에 작은 손실에 발목 잡혀 퇴출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이는 결국 자본가와 경영자 간의 신뢰와 소통 부족에 기인한 것이었다.

소유와 경영은 ‘시아버지와 똑똑한 며느리’의 관계일 때 효율이 높아진다. 시아버지는 며느리에게 늘 어려운 존재다. 그러나 똑똑한 며느리는 시아버지가 어렵더라도 자기 의견을 슬기롭게 납득시킨다. 맏며느리로서의 책임감 때문에 눈치 보지 않고 할 말 다 해가며 집안 전체를 옳은 길로 이끄는 것이다.

그런 관계가 정립되어야 회사도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한다. CEO가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책임경영을 하고, 자본가는 그런 CEO를 믿고 과감하게 권한을 위임하는 황금분할의 구조가 중요하다. 이러한 균형을 위해서는 CEO는 주인으로서의 책임과 소명의식이 필요하고, 자본가는 산업 전체를 직관하는 넓은 시야가 필요하다. 이제야 밝힐 수 있는 코리안리 성장의 비결도 결국 소유와 경영의 분리, 나아가 ‘CEO의 오랜 책임 경영과 대주주의 신뢰’에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2010-08-0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