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와 굵직한 스포츠 행사들이 있어서인지 새해 첫날 서울신문의 6개 면을 할당한 신년여론조사와 3개 면을 할애한 소치동계올림픽, 브라질월드컵, 인천아시안게임 신년기획기사가 비중 있게 다가왔다. 현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여론조사는 나름대로 의미 있는 기획이었다고 생각되나, 아직 출사표를 올리지도 않은 가상후보들에 대한 차기 대선 및 지방선거 여론조사는 그 규모에 비해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웠다.
선거와 스포츠의 공통점은 승자와 패자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스포츠는 승자와 패자가 나뉜 이후 그 승자와 패자가 어떻게 활동하는 지가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 중요하지 않다. 땀 흘려 연습한 결과가 경기에서의 승리로 마무리되는 것이다. 반면에 정치에서의 선거는 승자와 패자가 나뉜 이후가 더 중요하다. 승자는 과연 유권자들이 원하는 만큼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패자는 과연 유권자들이 그들에게 표를 던지지 않은 이유를 깨닫고 반성할 것인가 하는 점들을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뽑은 사람들이 우리 기대대로 우리 사회를 더 좋게 만들어 가는지에 대한 평가는 선거 직후가 아닌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비로소 가능해진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문을 읽다 보면 한국은 ‘선거를 위한’ 나라가 아닌지 의문이 들 때가 있다. 하나의 선거가 끝나자마자 당선자가 잘하는지 못하는지를 두고 보려는 시간적 여유도 없이 바로 그다음 선거를 겨냥하는 내용이 등장하기도 한다. 지방선거 및 차기 대권주자 관련 기사는 지난 대통령선거 직후부터 몇몇 언론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014년이 되자 본격적으로 경마식 보도에 들어간 느낌이다.
지난 6일자까지 이어진 광역단체장 여론조사 보도에서 특히 부담되었던 것은 현재 광역단체장들 사진의 크기였다. 마치 선거홍보물을 보는 듯한 느낌마저 줄 정도로 이렇게 큰 인물사진들을 귀중한 신문의 지면에 할애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사진 크기를 반으로 줄인다 해도 다른 가상후보들보다는 충분히 커서 돋보일 수 있는데도 말이다.
정치인을 선거로 뽑는 이유는 사람들이 잘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다. 뽑아놓고 나서는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그들이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봐야 하건만, 그럴 틈도 없이 또 다음 선거를 이야기하곤 한다. 선거가 국민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국민이 선거를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주객이 전도되어 있다.
우리 언론에 나타나는 정치 기사와 스포츠 기사에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면, 정치는 주로 나라 안에서 대결하는 모습에, 스포츠는 주로 다른 나라와 대결하는 승부에 방점을 둔다는 점이다. 서울신문 신년기획기사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각 지역 안에서 대결이 예상되는 후보들을 비교한 정치 기사와 대조적으로, 소치동계올림픽이나 브라질월드컵 기사에서는 우리나라 선수들이 해외 선수들과 대결하여 승리하기를 바라는 데 초점이 있다. 그래서 신문을 보는 국민들도 정치 기사를 볼 때는 본인의 입장에 따라 서로 적이 되었다가도, 스포츠 기사를 볼 때는 한마음으로 애국자가 되어 한국을 응원한다. 정치도 스포츠처럼 ‘외부’의 적과 싸우는 데 초점을 두고 내부에서 화합하는 모습을 보이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신문을 읽다 보면 한국은 ‘선거를 위한’ 나라가 아닌지 의문이 들 때가 있다. 하나의 선거가 끝나자마자 당선자가 잘하는지 못하는지를 두고 보려는 시간적 여유도 없이 바로 그다음 선거를 겨냥하는 내용이 등장하기도 한다. 지방선거 및 차기 대권주자 관련 기사는 지난 대통령선거 직후부터 몇몇 언론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014년이 되자 본격적으로 경마식 보도에 들어간 느낌이다.
지난 6일자까지 이어진 광역단체장 여론조사 보도에서 특히 부담되었던 것은 현재 광역단체장들 사진의 크기였다. 마치 선거홍보물을 보는 듯한 느낌마저 줄 정도로 이렇게 큰 인물사진들을 귀중한 신문의 지면에 할애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사진 크기를 반으로 줄인다 해도 다른 가상후보들보다는 충분히 커서 돋보일 수 있는데도 말이다.
정치인을 선거로 뽑는 이유는 사람들이 잘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다. 뽑아놓고 나서는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그들이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봐야 하건만, 그럴 틈도 없이 또 다음 선거를 이야기하곤 한다. 선거가 국민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국민이 선거를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주객이 전도되어 있다.
우리 언론에 나타나는 정치 기사와 스포츠 기사에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면, 정치는 주로 나라 안에서 대결하는 모습에, 스포츠는 주로 다른 나라와 대결하는 승부에 방점을 둔다는 점이다. 서울신문 신년기획기사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각 지역 안에서 대결이 예상되는 후보들을 비교한 정치 기사와 대조적으로, 소치동계올림픽이나 브라질월드컵 기사에서는 우리나라 선수들이 해외 선수들과 대결하여 승리하기를 바라는 데 초점이 있다. 그래서 신문을 보는 국민들도 정치 기사를 볼 때는 본인의 입장에 따라 서로 적이 되었다가도, 스포츠 기사를 볼 때는 한마음으로 애국자가 되어 한국을 응원한다. 정치도 스포츠처럼 ‘외부’의 적과 싸우는 데 초점을 두고 내부에서 화합하는 모습을 보이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2014-01-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