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이 뭔가 단단히 마음을 먹은 것 같다. 2015년 새해 벽두 제1면에 싣고 있는 파격적인 사진과 근본적인 질문들이 가슴 한 구석을 서늘하게 한다. 1월 6일자 ‘기자, 거지 되다’, 12일자 ‘난 어떻게 클까’는 서울신문이 2015년 현재 대한민국의 빈부 격차 실상을 소개하고 해법을 함께 고민하자는 취지에서 기획한 연재 중 첫 2회분이다. 상위 1% 부유층과 하위 9.1% 절대빈곤층의 생활상을 분야별로 비교 소개하고 있다.
절대빈곤층은 가구 총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은 4인 가구 월소득 166만 8329원 미만이다. 또 도시 근로자 평균소득 50% 미만의 소득계층은 일반적으로 ‘빈곤층’으로 분류된다.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 시대에 접어든다는 2015년 대한민국, 거리에서 만나는 11명 중 1명은 절대빈곤층이며 6명 중 1명은 빈곤층이란 얘기다.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비수급 빈곤층, 차상위 빈곤층은 10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한다.
12일자 출산 육아 편 기사 중 특히 어린 아이들을 키우는 싱글맘들 이야기는 더욱 안타까웠다. 엄마들이 직장을 다니며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매일매일 전투를 치르는 것과 같다. 옆에서 도와주는 손이 있다 해도 초 단위로 시간을 쪼개 쓰며 부서질 것 같은 몸을 추슬러 아이를 안고 업는다. 하루하루가 시간의 전투, 몸의 전투다. 하물며 싱글맘들의 상황이랴.
부유층과 절대빈곤층 기사 중 시선을 더 끄는 것은 후자의 생활상이다. 상위 1%는 그림 속 왕자와 공주 이야기인 것 같아 전혀 현실감이 없고 상대적 빈곤감과 박탈감만 느끼는 반면, 후자 쪽에는 한 발 삐끗하면 언제라도 속할 수 있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무의식 속에 있기 때문인가 보다. 그만큼 나의, 우리의 삶은 살얼음판을 딛고 있는 것처럼 허약하다.
최근에는 빈곤의 문제를 단순한 경제적 결핍만이 아닌 사회 전반적 분야에서의 배제 또는 박탈로 보는 시각이 있다. 교육, 건강, 주거, 환경, 문화 등의 영역에서 배제되는 사회적 배제, 사회구조에서의 배제, 특정 계층에서의 배제다. 쉽게 말해 그들은 그들끼리, 우리는 우리끼리라고나 할까. 지난해 송파 세 모녀 사건이나 최근 서울 서초동에서 강씨라는 사람이 가족에게 저지른 끔찍한 사건은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나이 오십이 돼서야 깨닫는 것 중 하나는 금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나는 이들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존재를 모르고도 이제껏 큰 탈 없이 살아왔으니 이제 와 그들 생활을 엿보며 상대적 빈곤을 느끼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우리 사회 빈곤층의 경제적 빈곤이 사회적 배제 또는 박탈로 이어지고 대물림되는 것을 볼 때, 국가의 복지정책과는 별개로 상위 1%, 0.1%, 0.01%, 0.001%에 속하는 이들이 감당하고 책임져야 할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새해에 서울신문이 야심차게 시작한 기획에 큰 박수를 보낸다. 두 달 동안 진행되는 이번 기획물이 우리 사회의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그리고 해법을 고민하는 단계를 넘어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 공론화를 지속시키는 후속 기획이 곧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불어 상대적 빈곤을 느끼는 이들에 대한 배려도 부탁한다.
안혜련 참문화사회연구소장
12일자 출산 육아 편 기사 중 특히 어린 아이들을 키우는 싱글맘들 이야기는 더욱 안타까웠다. 엄마들이 직장을 다니며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매일매일 전투를 치르는 것과 같다. 옆에서 도와주는 손이 있다 해도 초 단위로 시간을 쪼개 쓰며 부서질 것 같은 몸을 추슬러 아이를 안고 업는다. 하루하루가 시간의 전투, 몸의 전투다. 하물며 싱글맘들의 상황이랴.
부유층과 절대빈곤층 기사 중 시선을 더 끄는 것은 후자의 생활상이다. 상위 1%는 그림 속 왕자와 공주 이야기인 것 같아 전혀 현실감이 없고 상대적 빈곤감과 박탈감만 느끼는 반면, 후자 쪽에는 한 발 삐끗하면 언제라도 속할 수 있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무의식 속에 있기 때문인가 보다. 그만큼 나의, 우리의 삶은 살얼음판을 딛고 있는 것처럼 허약하다.
최근에는 빈곤의 문제를 단순한 경제적 결핍만이 아닌 사회 전반적 분야에서의 배제 또는 박탈로 보는 시각이 있다. 교육, 건강, 주거, 환경, 문화 등의 영역에서 배제되는 사회적 배제, 사회구조에서의 배제, 특정 계층에서의 배제다. 쉽게 말해 그들은 그들끼리, 우리는 우리끼리라고나 할까. 지난해 송파 세 모녀 사건이나 최근 서울 서초동에서 강씨라는 사람이 가족에게 저지른 끔찍한 사건은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나이 오십이 돼서야 깨닫는 것 중 하나는 금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나는 이들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존재를 모르고도 이제껏 큰 탈 없이 살아왔으니 이제 와 그들 생활을 엿보며 상대적 빈곤을 느끼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우리 사회 빈곤층의 경제적 빈곤이 사회적 배제 또는 박탈로 이어지고 대물림되는 것을 볼 때, 국가의 복지정책과는 별개로 상위 1%, 0.1%, 0.01%, 0.001%에 속하는 이들이 감당하고 책임져야 할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새해에 서울신문이 야심차게 시작한 기획에 큰 박수를 보낸다. 두 달 동안 진행되는 이번 기획물이 우리 사회의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그리고 해법을 고민하는 단계를 넘어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 공론화를 지속시키는 후속 기획이 곧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불어 상대적 빈곤을 느끼는 이들에 대한 배려도 부탁한다.
2015-01-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