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감 후] 총선 앞둔 민주당의 아킬레스건, 내로남불과 팬덤정치/황비웅 정치부 차장

[마감 후] 총선 앞둔 민주당의 아킬레스건, 내로남불과 팬덤정치/황비웅 정치부 차장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3-05-31 00:40
업데이트 2023-05-3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황비웅 논설위원
황비웅 논설위원
“민주당이 내년 총선에서 폭망하면 지난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까지 같이 이뤄지게 될 겁니다.”

최근 만난 더불어민주당의 정책통으로 불리는 한 지인은 민주당의 내년 총선 전망을 상당히 어둡게 보고 있었다. 특히 미뤄진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까지 함께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인상적이었다.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당시 민주당 후보는 47.83%를 얻어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48.56%)에게 0.73% 포인트 차로 석패했다. 이 근소한 차이가 민주당의 ‘졌잘싸’ 분위기를 이끌어 냈고, 통상 대선에서 패배한 뒤 잠행에 들어가던 패턴과 달리 이 후보는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민주당 전당대회를 거쳐 제1야당의 대표가 된다. 이 과정에서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히려 민주당은 거대 야당의 법안 밀어붙이기에 올인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는 잠시 미뤄 둔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하다. 민주당 내에서도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이재명 대표 체제로 10개월여 남은 총선을 치르기는 힘들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들어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투자 논란’ 등에 대한 미온적 대처로 이 대표의 리더십은 풍전등화처럼 흔들리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 대표 체제와 이른바 ‘개딸’(개혁의 딸)로 대변되는 강성지지층의 ‘팬덤정치’에 힘입어 대선 평가가 흐지부지됐다. 하지만 민주당이 분당 위기를 맞는다든가 이 대표 체제에서 벗어난 이후에는 통렬한 반성과 평가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 이 대표의 얼굴로 총선을 치른다고 해도 대선부터 총선 패배까지 패키지로 평가가 이뤄질 것이다.

지난 대선부터 내년 총선까지 관통하는 주제로 우선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을 들 수 있다. 내로남불의 시작은 문재인 정권의 조국 법무부 전 장관 때부터일 것이다. 조 전 장관이 1만여개의 트위터 글을 통해 정의와 공정을 부르짖던 모습을 기억하는 유권자들은 막상 검증해 보니 자녀교육, 재산축적 등 본인이 주장하던 바와 달리 문제가 많은 것에 놀람을 금치 못했다. 최근에는 조 전 장관에 이어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코인) 투자 논란이 내로남불의 계보를 잇고 있다. 가난한 청년 이미지를 강조했던 김 의원이 코인 투자로 수십억원 이상을 번 사실이 확인되자 2030세대의 분노는 하늘을 찌를 듯했다. ‘조국의 강을 건넜더니 남국의 바다에 빠졌다’는 자조 섞인 푸념은 내년 총선 때까지 유령처럼 배회할 가능성이 높다.

팬덤정치의 폐해 역시 지난 대선과 총선을 관통하는 반성의 키워드가 될 것이다. 강성지지층들이 당을 뒤흔드는 극렬 팬덤정치가 횡행한 건 문재인 전 대통령의 맹목적 극렬 지지층인 ‘문빠’가 원조였다. 2017년 문재인 당시 대선 후보는 지지자들의 ‘문자폭탄’ 등에 대해 “우리 경쟁을 더 이렇게 흥미롭게 만들어 주는 양념 같은 것”이라고 발언했다. 그러나 문빠의 ‘좌표찍기’, 문자폭탄 등은 수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지난 대선 이후엔 문빠 팬덤정치의 계보를 이은 개딸들이 등장해 대의원제 폐지까지 요구하며 갈수록 침몰해 가는 당을 더욱 사납게 뒤흔들고 있다. 이 대표가 개딸들과 절연하지 못하는 한 이 대표 체제는 막을 내릴 가능성이 높고, 총선 패배의 책임과 평가 역시 가혹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황비웅 정치부 차장
2023-05-31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