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환익 바깥세상] 거품이 터지지 않으려면

[조환익 바깥세상] 거품이 터지지 않으려면

입력 2012-05-31 00:00
업데이트 2012-05-31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페이스북이 기업공개(IPO)를 하자마자 당국의 조사와 개미투자자들의 고소사태를 맞았다. 실적 전망이 정직하지 않고 거품을 담았기 때문에 주가가 공모 직후 급추락하게 되었다는 게 그 이유이다. 한때 시가총액이 1000억 달러까지 갈 것으로 보았던 이 시대의 총아 페이스북과 그 대표인 저커버그가 탐욕의 월가와 어울려서 또 하나의 도덕적 해이 사례를 만들어 낸 것처럼 몰매를 맞고 있다.

이미지 확대
조환익 한양대 석좌교수·전 코트라 사장
조환익 한양대 석좌교수·전 코트라 사장
그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업체들의 기업가치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상승곡선을 타면서 거품론을 우려하는 시각들이 적지 않았다. 그렇지만 페이스북과 같이 액티브 유저(활동성 가입자)가 8억명이나 되고 중동과 아프리카의 민주주의를 불러올 정도의 위세에 이러한 목소리는 힘을 얻지 못했었다. 그러나 SNS에 대한 인기, 몰입도와 SNS를 통한 광고효과 등 경제적 이익이 다를 수 있다는 기업의 평가가 확산되면서 GM이 페이스북 광고를 철회하게 되었다. 거품이 꺼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때 페이스북은 서둘러 기업공개를 하였지만 오히려 그 과정에서 시장의 신뢰를 잃게 된 것이다. SNS 기업의 생명은 회원가입자의 계속적 증가와 이를 유지·확산시킬 수 있는 콘텐츠의 끊임없는 창조라고 한다. 상업적 참여를 자극할 콘텐츠 공급에서 시장의 기대를 못 쫓아갔을 것이다.

우리는 현재 세계적인 과잉 유동성의 버블 속에서 그리스 등 유럽국가에서는 유동성의 결핍이란 불균형의 세계에 살고 있다. 미국의 무역적자,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찍어낸 달러는 단기적으로 수익성 전망이 있으면 앞뒤 가리지 않고 몰려다닌다. 그러한 쏠림현상은 거품을 만들고 조금이라도 리스크가 보이면 거품을 터뜨리며 야멸차게 또 다른 거품을 향해 빠져나간다. 그것이 미국 금융위기의 근본원인이다. 유럽의 금융·재정위기도 다를 것이 없다.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들은 대부분 잘나가는 것처럼 보이던 한때, 금융이나 건설·서비스 분야 등에 외국자본들이 많이 몰려 경제의 착시현상을 일으킨 곳들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거품이 꺼지고 경기 끝난 텅 빈 스타디움같이 어둠만 깔려 있다.

페이스북도 결국 이를 사용하는 기업이나 개인에게 기대만큼 부를 창출해 내지 못하기에 거품론에 휩쓸리는 것이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해서도 한동안 유동성 거품이 끼면서 실수요에 비해 전세계적인 과잉투자 현상이 일어났다. 그리고 현재는 가격 하락과 수요 부족으로 인한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생산성이나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분야에 막차를 타고 뛰어든 기업들이 시장에서 퇴출되고 있다. 또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에너지 자원 분야와 농산물 분야의 가격도 현재는 빠른 추락세에 있다.

또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중국 경제의 거품에 대해 걱정하는 시각도 많이 있다. 부동산 거품에 지나치게 의존해 온 중국 금융기관의 잠재적 부실 그리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빚더미의 중국 지방정부 등도 화약고로 보는 것이다. 중국의 이와 같은 외형적 팽창이 내면적 혁신과 동반되지 않을 때 중국의 지속적 성장은 지체될 수밖에 없고 또 이는 세계경제의 새로운 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세계는 10여년 전 정보기술(IT)의 버블이 깨지면서 극심한 경기 침체를 겪은 적이 있었다. 한국도 당시 비슷한 고통을 겪었으나 발달된 IT와 인프라를 제조업에 융합시켜 국부를 창출하고 이것이 현재 한국을 무역 1조 달러의 대국으로 만든 밑거름이다. 결국 돈이 몰리면 거품이 생기고 그 거품은 꼭 꺼지게 되어 있다. 어느 분야든지 어느 정도의 거품은 불가피하지만 이 거품이 터지지 않고 잘 가라앉도록 하는 것이 국가와 기업의 전략이다. 거품에 의한 일시적 호황을 지속적인 경기상승으로 이어 나가려면 창의와 혁신에 기반을 둔 생산적인 산업과 연결시킬 때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역사가 말해 주고 있다.

2012-05-31 3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