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만진의 도시탐구] 일본은 없다

[최만진의 도시탐구] 일본은 없다

입력 2019-07-30 20:42
업데이트 2019-07-31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과 교수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과 교수
기술의 진보가 인류에게 가져다준 가장 큰 선물 중 하나는 이동의 자유다. 첨단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나 선박들이 발명되면서 먼 거리도 손쉽게 왕래하는 세상이 됐다. 비행기의 등장은 지역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글로벌 시대를 도래시켰고, 우주여행까지도 꿈꾸게 하고 있다. 이를 도시개발에 최고로 잘 적용한 건축가가 ‘존 헤론’인데, ‘걸어 다니는 도시’라는 대담한 구상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는 아메바 형태의 거대한 기계구조물인데, 동물처럼 다리가 달려 있어 마음대로 다닐 수 있도록 고안됐다. 이로써 본인의 자원이 필요하고 기술 등의 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장소로 언제든 갈 수가 있다. 또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여러 개가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메트로폴리스 기계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뿐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형태와 구조를 자생적으로 바꾸어 나가기도 한다.

소위 ‘워킹 시티’로 불리는 이 도시의 배경에는 기계 문명의 힘을 빌려 지역과 국가를 초월하는 공동체를 생성시킨다는 철학적 의미가 숨어 있다. 이는 우주 개발에서 더 잘 드러난다. 누가 주인이라 할 수도 없는 망망한 우주 바다에 비행하는 도시들이 평화롭게 공존하면서 같이 진화하고 살아가는 것이다. 이는 국가권력과 자국 보호라는 미명 아래 이웃 나라와 분쟁을 일삼고, 약탈과 전쟁까지도 불사했던 인류 비극을 종식시키는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런 생각이 마치 우주 공상 소설이나 영화에서만의 일 같지만 생각보다는 더 많이 우리의 현실 속에 와 있다.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국제적 분업이다. 이는 여러 나라들이 경제적 이익의 배가를 위해 자국만의 자원과 기술을 특화해 협업 관계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물론 국제 분업은 이미 수백 년 전부터 있어 왔지만, 운송수단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필수불가결한 것이 됐다. 특히 이전에는 약소국가가 강대국에 값싼 노동력과 원자재를 약탈당하다시피 제공한 경우가 많았다면, 오늘날에는 상호 공생하는 관계로 발전하게 됐다. 이러한 국제적 경제 공조 효과와 기능은 인터넷의 발달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일본이 최근 일방적으로 내린 경제 제재 조치는 이것만 보더라도 시대적 흐름과 정신을 역행하고 망각한 어이없는 행동인 것이다. 이는 역사를 거스르며 자국은 물론이고 이웃 나라와 전 세계를 배신한 반인류적인 행위로 비난받아 마땅한 것이다. 특히 독일의 고전주의 시인인 프리드리히 실러가 주창한 세계시민주의 및 사해동포주의의 메시지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이기도 하다. 이를 무시했던 인류는 급기야 두 번의 세계대전을 치르는 끔찍한 지경에 이르기도 했다. 이러한 전쟁의 망령을 되살리지 않기 위해서 아베와 그의 추종자들은 반성하는 자세로 워킹시티를 성찰해 보아야 한다. 그래서 그들이 꿈꾸는 군국주의 일본은 이미 사라지고 없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그러지 않으면 다시 한 번 패망의 쓰디쓴 맛을 보게 될 것임을 역사와 워킹시티는 엄중히 경고하고 있다.

2019-07-31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