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오바마 대통령께/김상연 워싱턴특파원

[특파원 칼럼] 오바마 대통령께/김상연 워싱턴특파원

입력 2012-08-04 00:00
수정 2012-08-04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일은 과거사를 무릎 꿇고 사죄했는데 일본은 왜 제대로 사과하지 않을까.

이미지 확대
김상연 워싱턴특파원
김상연 워싱턴특파원
일본인의 천성이 용렬한 탓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전후 처리에 그 원인이 있다. 일본의 항복을 홀로 받은 미국은 일본 제국주의의 근간인 ‘천황제’를 존속시켰고 그에 따라 일본 기득권층은 거의 온전히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지금 일왕을 위시한 정치권 주류가 제국주의 일본을 이끌던 자들의 직계 후손이기 때문에 이들은 “과거가 잘못됐다.”고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현재 독일에 총통제가 존속해 아돌프 히틀러의 아들이 총통으로, 나치의 자손들이 정치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번 상상해 보라. 결국 미국이 일본 제국주의를 제대로 청소하지 않았기에 일본이 과거사를 제대로 청산하지 않는다는 논리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일본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느라 많은 피를 흘린 미국은 왜 복수심을 접고 일본의 ‘앙시앵 레짐’(옛 체제)을 존속시켰을까. 감정보다는 이성으로 사고하는 미국 특유의 실리주의 때문이다. 공산국가 소련의 세력 팽창을 우려한 미국은 일본을 뒤집어엎어 카오스 상태로 만드는 것보다는 말 잘 듣는 일왕을 수족 삼아 일본을 대(對)소련 방어기지로 활용하는 게 이득이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 지난해 ‘아랍의 봄’에 직면한 미국이 절친했던 중동 독재자들에게 미련을 못 버리고 머뭇거리다 뒤늦게 반군 편에 선 모습에서 60여년 전 일본에 대한 미국의 계산법을 읽을 수 있다.

주어진 구도를 가급적 유지한 채 최소의 비용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미국의 정책적 전통은 지금 동북아에서 다시 빛을 발하고 있다. 핵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미국 정부가 일본의 핵무장 우려가 나오는 데 대해서는 수수방관이고 ‘집단적 자위권’ 얘기가 나와도 강 건너 불구경이다. 이러니 과거 소련 때문에 일본을 키웠던 미국이 지금은 중국 때문에 다시 일본을 키우려 한다는 진단이 나오는 게 무리가 아니다.

미국의 처지가 이해 안 가는 것은 아니다. 전통적 우방인 호주는 중국으로부터 거리가 너무 멀고, 한국은 북한 핵·미사일 개발 억제 명분에다 중국을 직접 자극할 수 있고 반미세력의 반발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본진(本陣)으로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반면 일본은 중국과 적당히 근접한 데다 미국의 글로벌 전쟁에 늘 아낌없이 돈을 퍼주는 나라라는 점에서 국방예산 삭감으로 지갑이 빈 미국으로서는 최소의 비용으로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매력이 있다.

미국은 한국을 최전선으로, 일본을 본진으로 삼는 한·미·일 3자동맹으로 동북아에서 중국을 봉쇄하는 그림을 그렸고, 최근 논란이 된 한·일정보협정은 그 첫 단추다. 한·일정보협정이 무산된 뒤 미국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들리는 구시렁거림은 “한국인들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들은 “일본 정보의 질이 훨씬 높기 때문에 협정을 체결하면 한국이 더 득을 볼 텐데 과거에 발목을 잡혀 미래로 나아가지 못하는 게 답답하다.”고 한다. 미국인들의 눈엔 한국인들이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과거지향적으로 비치는 모양이다.

하지만 한·일 강제병합뿐 아니라 그 전의 임진왜란, 또 그 전의 숱한 왜구 침략으로 한국인의 DNA 깊숙이 박혀 있는 일본에 대한 본능적 경계심을 “과거지향적”이라는 단어 하나로 폄하할 수는 없다. 섬나라 일본의 사이코패스적 호전성에 대한 한국의 경계심은 ‘유전공학적’이고, 그래서 과학적이다. 수천년 동안 일본의 ‘과거’는 늘 한국에 ‘미래’의 위험으로 반복돼 온 역사를 미국은 공부해야 한다. 방심하고 있다가 진주만을 얻어맞은 미국의 예지력이 한국인보다 우월하다고 장담할 수 있는가.

미국이 한·미·일 3자동맹을 제대로 하고 싶다면 일본에 과거사에 대해 분명한 자세를 보일 것을 먼저 요구하는 게 순서다. 지구상에서 그 일을 강제할 수 있는 나라는 일본의 항복을 홀로 받고 그들에게 면죄부를 준 미국밖에 없다.

carlos@seoul.co.kr

2012-08-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