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칼럼의 문패 ‘신호를 찾아서’의 다른 후보 중 하나는 네이트 실버의 책 제목인 ‘신호와 소음’이었다.
신호와 소음이란 불확실성을 다루는 한 가지 방법으로 원래 불확실한 정보를 확실한 ‘신호’와 불확실한 ‘소음’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기술이다. 또 신호는 의미 있는 정보이며 소음은 무의미한 잡음이라 할 수도 있다. 각각의 특성을 이용해 원래 정보를 얻어낼 수 있어서 현대 학문의 여러 분야에 적용돼 성과를 내고 있다.
통신 분야는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쓰인 대표적인 분야다. 신호는 발신자가 의도했던 정보를 의미하며 소음은 열(熱)잡음과 주변 환경의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잡음을 의미한다. 보통 수신자는 원래의 신호에 소음이 더해진 지저분한 신호를 받게 된다. 이때 우리는 소음이 무작위하다는 특징을 이용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신호를 반복해 보내게 함으로써 무작위의 영향을 줄이는 것이다.
이 개념은 여러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는 말을 보자. 이 말이 쓰이는 맥락에서 과정과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과정은 노력을 통해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을, 결과는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흔히 운이라고 부르는 요소가 더해진 것이다. 따라서 과정은 신호에, 결과는 신호와 소음이 더해진 것에 비유될 것이다. 최선을 다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는 ‘진인사대천명’이란 말에도 이와 비슷한 의미가 들어 있다.
결국 ‘과정이 결과보다 중요하다’는 말은 이렇게 해석할 수 있다. 올바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가 신호를 반복해 전송하고 이를 통해 소음의 효과를 없앴던 것처럼 우리가 과정을 올바르게 수행한다면 비록 이번에는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다 하더라도 거듭해 시도하다 보면 언젠가는 그것을 얻게 되리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현실이 그렇지 않다는 점에 있다. 무한경쟁시대라는 말이 있듯이 오늘날 우리가 과정과 결과를 논하는 상당히 많은 문제에서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력과 무관하게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다. 예를 들어 경쟁률이 수십대 1 이상의 상황이라면 결과보다 과정이라는 말은 위로는 되겠지만 적절한 충고가 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말이다.
또 한편에서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달려와 목표를 이룬 이후 허탈감을 통해 결과보다는 과정이라는 통찰을 얻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목표를 이루는 행운을 누리지 못한 다수 역시 자신의 노력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이런 통찰을 환영한다. 결과로 만족하기보다 과정으로만 만족해야 하는 사회를 만든 이들 또한 이 통찰을 환영할 것이다.
이런 통찰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 중에는 이 시대의 중요한 특징인 ‘미래’보다 ‘현재’를 중시하는 경향도 빼놓을 수 없다. 지금 이 순간을 즐기라든지, (미래의) 성공이 목표가 아니라 (현재의) 행복이 우선이라는 말들이다. 물론 ‘지금 행복하지 않으면 영원히 행복할 수 없다’는 말에는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단지 그 설득력의 배경 중에 내가 지금 당장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이유를 이 논리가 제공해 주므로 자극되는 욕망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문제가 있을 뿐이다.
결국 결과보다 과정이라는 논리의 가장 큰 문제는 사실상 모든 결과는 더 큰 과정의 일부이며, 각각의 과정 또한 더 작은 결과들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보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현실에서는 과정이 결과를 부르고, 결과는 다시 과정을 이루는 일이 끝없이 반복된다. 이러한 거시적인 시각만이 부족한 결과를 위로해 주고, 새로운 과정에서 노력하게 만드는 이 논리가 의미를 가질 것이다. 이런 분석에도 불구하고 ‘결과보다 과정’이라는 말은 오래 살아남을 것이다. 경쟁에서 승리한 자와 패배한 자가 모두 만족하는 말이 어디 그리 흔하겠는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이 개념은 여러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는 말을 보자. 이 말이 쓰이는 맥락에서 과정과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과정은 노력을 통해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을, 결과는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흔히 운이라고 부르는 요소가 더해진 것이다. 따라서 과정은 신호에, 결과는 신호와 소음이 더해진 것에 비유될 것이다. 최선을 다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는 ‘진인사대천명’이란 말에도 이와 비슷한 의미가 들어 있다.
결국 ‘과정이 결과보다 중요하다’는 말은 이렇게 해석할 수 있다. 올바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가 신호를 반복해 전송하고 이를 통해 소음의 효과를 없앴던 것처럼 우리가 과정을 올바르게 수행한다면 비록 이번에는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다 하더라도 거듭해 시도하다 보면 언젠가는 그것을 얻게 되리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현실이 그렇지 않다는 점에 있다. 무한경쟁시대라는 말이 있듯이 오늘날 우리가 과정과 결과를 논하는 상당히 많은 문제에서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력과 무관하게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다. 예를 들어 경쟁률이 수십대 1 이상의 상황이라면 결과보다 과정이라는 말은 위로는 되겠지만 적절한 충고가 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말이다.
또 한편에서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달려와 목표를 이룬 이후 허탈감을 통해 결과보다는 과정이라는 통찰을 얻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목표를 이루는 행운을 누리지 못한 다수 역시 자신의 노력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이런 통찰을 환영한다. 결과로 만족하기보다 과정으로만 만족해야 하는 사회를 만든 이들 또한 이 통찰을 환영할 것이다.
이런 통찰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 중에는 이 시대의 중요한 특징인 ‘미래’보다 ‘현재’를 중시하는 경향도 빼놓을 수 없다. 지금 이 순간을 즐기라든지, (미래의) 성공이 목표가 아니라 (현재의) 행복이 우선이라는 말들이다. 물론 ‘지금 행복하지 않으면 영원히 행복할 수 없다’는 말에는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단지 그 설득력의 배경 중에 내가 지금 당장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이유를 이 논리가 제공해 주므로 자극되는 욕망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문제가 있을 뿐이다.
결국 결과보다 과정이라는 논리의 가장 큰 문제는 사실상 모든 결과는 더 큰 과정의 일부이며, 각각의 과정 또한 더 작은 결과들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보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현실에서는 과정이 결과를 부르고, 결과는 다시 과정을 이루는 일이 끝없이 반복된다. 이러한 거시적인 시각만이 부족한 결과를 위로해 주고, 새로운 과정에서 노력하게 만드는 이 논리가 의미를 가질 것이다. 이런 분석에도 불구하고 ‘결과보다 과정’이라는 말은 오래 살아남을 것이다. 경쟁에서 승리한 자와 패배한 자가 모두 만족하는 말이 어디 그리 흔하겠는가.
2018-01-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