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저쪽의 공간을 가리킬 때는 ‘저 산 너머’다. 이때 ‘너머’는 공간이나 공간의 위치를 나타낸다. 속담 ‘산 넘어 산이다’에선 ‘너머’가 아니라 ‘넘어’다. 여기서 ‘넘어’는 ‘공간’이 아니라 ‘넘는다’는 ‘동작’을 뜻한다. ‘너머’와 ‘넘어’는 발음이 같아서 혼동을 일으키지만,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고 많은 국어 선생님들은 알려 준다. 적절해 보이는 예문까지 들어 가면서 설명해 준다. 그런데도 여전히 ‘너머’와 ‘넘어’는 구별이 쉽지 않다.
여기에 이런 설명이 하나 덧붙여지면 구분이 더 쉬워질지 모르겠다. ‘산 넘어 산’은 ‘산을 넘어 산’이다. ‘저 산 너머’는 ‘저 산의 너머’라 할 수 있다. ‘넘어’ 앞의 ‘산’엔 ‘을’이 붙을 수 있다. ‘산을 넘다’이기 때문이다. ‘산의 넘다’는 어색하다. ‘너머’ 앞의 ‘산’엔 ‘의’가 와야 뜻이 통한다.
‘너머’는 본래 ‘넘다’에서 왔다. 의미와 품사는 달라졌지만, 뿌리까지 같을 정도로 ‘너머’와 ‘넘어’는 가까이에 있다. 그래서 더 혼동한다. 비슷해서 관심을 덜 갖게 되는 것이다. 가까이 있다는 이유가 그늘이 된다. 밀접함이 지나쳐 버리기 쉬운 조건이 되고 말았다. ‘너머’와 ‘넘어’가 그렇듯 다른 일상에서도 가까운 건 가볍거나 우습게 여길 때가 많다. 그럼 어려워진다.
wlee@seoul.co.kr
여기에 이런 설명이 하나 덧붙여지면 구분이 더 쉬워질지 모르겠다. ‘산 넘어 산’은 ‘산을 넘어 산’이다. ‘저 산 너머’는 ‘저 산의 너머’라 할 수 있다. ‘넘어’ 앞의 ‘산’엔 ‘을’이 붙을 수 있다. ‘산을 넘다’이기 때문이다. ‘산의 넘다’는 어색하다. ‘너머’ 앞의 ‘산’엔 ‘의’가 와야 뜻이 통한다.
‘너머’는 본래 ‘넘다’에서 왔다. 의미와 품사는 달라졌지만, 뿌리까지 같을 정도로 ‘너머’와 ‘넘어’는 가까이에 있다. 그래서 더 혼동한다. 비슷해서 관심을 덜 갖게 되는 것이다. 가까이 있다는 이유가 그늘이 된다. 밀접함이 지나쳐 버리기 쉬운 조건이 되고 말았다. ‘너머’와 ‘넘어’가 그렇듯 다른 일상에서도 가까운 건 가볍거나 우습게 여길 때가 많다. 그럼 어려워진다.
wlee@seoul.co.kr
2019-11-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