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주부
어린 시절 동생과 나는 아빠에게 자주 맞았다. 성적이 떨어지면 맞았고, 의견을 거스르면 맞았고, 말대꾸를 하면 또 맞았다. 그 시절 집에 있는 시간은 늘 살얼음판을 걷는 것 같았다. 우리는 아빠를 몹시 미워했다. 물론 지금은 그렇지 않다. 종종 그때의 아빠가 지금의 내 나이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고 깜짝 놀라곤 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 역시 모든 게 처음이었던 한 명의 사람일 뿐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아빠를 이해하고 또 사랑한다.
나는 이야기했다. ‘덕분’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그랬는데도 불구하고 잘 자란 것이라고. 원망하는 마음이 남은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잘 지낼 수 있는 것을 그 ‘덕분’으로 여태껏 생각하고 있어서는 곤란하다고. 아무리 우리를 위해서라도 그건 옳지 않았다고. 아빠는 처음에는 기분이 상한 듯 보였다. 고치면 좋겠다고 말하자 그 부분은 중요하므로 그냥 놔두라고 하기도 했다. 지적을 받으면 누구라도 공격받는 느낌이 들 것이다. 그럼에도 물러설 수 없었다. 나는 거듭해서 이야기했고 옆에 있던 엄마도 거들었다. “맞아, 그때는 그랬다고 해도 요즘은 아니잖아.” 아빠는 고개를 숙이고 곰곰이 생각하는 것 같았다.
세월이 흐르면서 아빠는 변했다. 어떤 점은 그대로인 것 같지만 많은 부분이 달라졌다. 그런 모든 변화가 단순히 시간과 노화 때문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시대가, 사회가 바뀌었다. 그리고 위의 경우처럼 주변의 목소리가 있었다. 사실은 그것이 가장 주요했을 것이다. 아빠의 원고는 결국 수정됐다.
연일 우울하고 불쾌한 뉴스로 뒤덮이는 요즘이지만 그 안에서 어떤 실낱같은 희망을 본다. 학교와 가정에서 ‘사랑의 매’로 포장되던 체벌은 이제 적어도 폭력의 일환으로 간주되며,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인식도 많이 개선됐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여성 연예인의 이니셜을 달고 돌아다녔을 법한 불법 촬영물에 대한 분위기도 사뭇 바뀌었다. 물론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그러나 과거와는 많은 부분이 달라졌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누군가가 열심히 떠들었기 때문이다.
저녁에는 결혼을 앞둔 동생 커플과 우리 부부, 부모님이 다 같이 모여 식사를 했다. 엄마가 요리를 하고 나와 동생이 상을 차리고, 남편과 동생의 남자친구가 상을 치웠다. 설거지는 아빠가 했다. 예전 같았으면 전부 엄마 혼자 했을 일이다. 세계는 느리지만 조금씩 바뀌고 있었다.
2019-03-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