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진 서울대 공대 교수
이렇듯 혁신은 변화 속에서 변화를 낳으며 시간과 공간의 축을 따라 수시로 그려 내고 사라지는 다양한 조건이 만난 결과물이고, 끊임없이 전광판에서 색상과 점과 선이 변하듯 새로운 기술로 업데이트되며 바뀌어 간다. 현재의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세월을 학습한 것이다. 변화는 하루가 다르게 무서운 속도로 우리의 삶에 스며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의 생명체까지도 예고한다. 수많은 개개 기술의 다양한 융복합으로 엄청난 파생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혁신의 총아로 떠오르는 것이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이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생각을 데이터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한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을 컴퓨터가 수행하며, 감성·의지·의식의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지난 산업혁명의 경제성장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고, 인간의 지적 노동을 상당 부분 보조하거나 대신하며 오늘의 혁신을 촉진한다. 인공지능을 통해 인류는 생존 욕구에서 벗어나 미래 혁명을 위해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유발 하라리는 생명공학과 인공지능의 결합을 비의식적 알고리즘의 혁신적 발전이라고 했다. 비유기체적인 인공 지성의 탄생을 예견한 것이다.
비트코인으로 널리 알려진 블록체인은 사회관계망에서의 신뢰성 회복을 확보하는 시스템으로 수십 년 동안 쌓아 온 네트워크와 암호화 기술을 결합한 것이다. 당사자 모두가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분산형 네트위크 기술이어서 비대칭적이거나 국가의 간섭이나 통제가 배제되고 투명성이 보장된다. 앞으로 금융·물류·의료·환경·교육 등에서 산업 판도를 바꿔 놓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개개인의 경험을 편리한 쪽으로 극대화한 또 다른 세상이고, 모르는 여러 사람과 함께 협력하고 일할 수 있어 직접 민주주의 보완과 산업 혁신의 인프라 기술이 될 것이다.
이처럼 전례 없는 속도와 수준으로 펼쳐질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의 여러 현상을 바꿔 놓고 있다. 과거의 30년이 지금 우리 사회에 유례없는 양상의 큰 충격을 던졌지만, 30년 후에는 그보다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간의 흐름, 기술 발전이나 사회변화 속도에 비춰 볼 때 30년은 결코 먼 미래가 아니다. 이렇게 급격한 세상의 변화에서 교육과 인재 양성 혁신의 시급함을 자각하고, 서울대 교수 21인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바람직한 교육 비전을 펴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이 요구하는 혁신이 무엇인지 생각해 그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을 30년에 걸쳐 내놓았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 전망은 상대적으로 가장 확실한 것이다. 누구나 속도나 수준의 차이는 있어도 과거의 발전 패턴을 넘어 전례 없는 속도와 수준으로 발전하며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2018-01-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