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하지만 우리 선조는 이러지 않았다. 금수도 하는 자식 챙김보다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부모 봉양이 더 근본적인 가치요 올바른 삶이라 여겼다. 그뿐만 아니라 부모를 봉양할 때도 몸을 모시는 ‘양구체’(養口體)보다 뜻을 모시는 ‘양지’(養志)를 더욱 중시하였다. 공자도 지적했듯이, 몸만 봉양하는 것은 애완동물을 잘 거두는 것과 다를 게 없다. 늙어서 애완동물 거둬지듯 대우받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에는 왜 효를 단순히 부모의 몸을 잘 봉양하는 문제로만 인식하고 양로원에 모시려고 하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질까. 순전히 막돼먹은 자식들 때문일까. 유감스럽게도 답은 ‘아니다’이다.
예전의 훌륭한 효자들도 태어나면서부터 효자였던 것은 아니다. 자라면서 보고 듣고 배운 대로 행한 결과이다. 누구한테 보고 듣고 배웠는가? 다른 누가 아니라, 매일 접하는 부모의 행동으로부터 가장 많이 보고 듣고 배웠을 뿐이다.
오늘날 우리 부모세대는 어떠한가. 자식에게 모범이 될 만한 삶을 살아왔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또 자식에게 요구하는 것은 전인적 인격인가, 아니면 전문적 지식과 기능인가. 부모의 모범은 솔선수범에서 시작되며, 그 솔선수범은 자식에 대한 덕육(德育)을 통해서만 효과를 발휘한다. 이 점에서 ‘지(智)·덕(德)·체(體)’를 팽개치고 ‘지(知)·지(知)·지(知)’만을 강조하는 오늘의 교육 세태는 부모가 자식에게 내가 늙으면 ‘양지’를 하지 말고 ‘양구체’만 해달라고 가르치는 것이나 진배없다.
강호문학의 대가였던 농암(巖) 이현보(李賢輔·1467~1555) 선생은 고향 안동에 계시는 연로한 부모를 모시려고 정자 한 채를 짓고 ‘애일당’(愛日堂)이라고 이름 붙였다. 해가 갈수록 부모님이 늙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날을 아껴 효도하겠다는 마음을 담은 당호이다. 꼭 500년 전인 1512년의 일이다. 몇 년 뒤 안동 부사로 내려와서는 부모님과 마을 어른들을 위해 양로연을 베풀고, 50이 넘은 나이에 때때옷을 입고 춤을 추어 부모를 즐겁게 해 드렸다.
모범이란 이런 것이다. 그런 농암을 보며 자란 자식들이 그를 어떻게 모셨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이 가는 일이다. 효를 가풍으로 삼은 농암 집안 사람들은 당시로서는 놀랍게도 건강한 장수의 삶을 누렸다. 농암의 부친과 모친이 각각 98세와 85세를 살았고 농암 자신도 89세를 살았다. 그 자녀 또한 장수를 누린 것이 이를 잘 말해준다. 효도야말로 모든 사람이 추구하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최고의 덕목인 셈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올 10월 하순 애일당 창건 500주년을 맞아 효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몇 가지 행사를 준비 중이다. 농암종택 종손이 마을 노인들을 모시고 그 옛날의 때때옷 춤을 재현할 것이고, 효의 의미를 재조명해 보는 학술행사도 개최될 것이다. 노령인구와 홀로 사는 노인가구 수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현실에서 부모가 자녀의 손을 꼭 잡고 함께 와서 많은 것을 느끼고 얻어가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2012-08-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