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권력의 역전, 이집트와 누비아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권력의 역전, 이집트와 누비아

입력 2019-08-06 00:04
수정 2019-08-06 04: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곽민수 더럼대 고고학과 연구원
곽민수 더럼대 고고학과 연구원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약 10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아스완이라는 도시가 있다. 이곳은 고대 이집트 시절 거의 항상 이집트의 남쪽 경계로 여겨졌던 곳이다. 여기에서부터 누비아가 시작된다.

가장 유명한 이집트의 유적들 가운데 하나인 아부심벨 대신전이 바로 이 누비아 지역에 있다. 람세스 2세 재위 24년(기원전 1265년쯤)에 만들어진 이 신전은 그 예가 흔치 않은 암굴 신전으로, 신전 정면을 장식한 높이가 20미터가 넘는 람세스 2세의 좌상 4개가 장관을 연출한다. 한편 이 신전은 1960년대 아스완 하이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놓였다가 유네스코 개입으로 이전시켜 유명하다. 이 일을 계기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탄생하기도 했다. 현재는 ‘아부심벨에서 필라에까지의 누비아 기념물들’이라는 이름으로 누비아 지역 전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누비아는 선사시대부터 이집트와는 분명하게 구별되는 문화권이었지만, 고대 이집트에게는 언제나 통제와 착취의 대상이기도 했다. 누비아가 이집트에서 소비되던 이국적인 아프리카산 물품의 생산지이자 중간 교역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누비아가 이집트에 중요하게 여겨졌던 것은 이곳에 대규모 금광이 있었기 때문이다.

고대 이집트어로 금을 ‘네부’라고 하는데, 이것이 누비아라는 지명의 어원이 됐을 가능성도 있다. 고대 이집트가 근동에서 오래도록 강자로 군림할 수 있었던 것도 누비아에서 생산되는 엄청난 양의 황금 덕분이었다. 이집트의 라이벌 국가들은 언제나 이집트의 황금을 부러워했고, 때로는 그에 대해 경외심을 표하기도 했다. 요컨대 고대 이집트는 고대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이었다.

신왕국 시대가 되면 이집트는 누비아를 아예 이집트 제국의 일부로 편입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편이 이 지역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을 것이다. 누비아를 완전히 이집트화하려던 이집트의 지배계층은 이데올로기 이식 작업을 시작한다. 조금 더 익숙한 표현으로 말하자면 ‘문화통치’를 시도했다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부심벨 대신전과 같은 누비아 지역의 이집트 신전들은 그런 목표를 갖고 만들어진 것이다. 이집트의 신전은 이데올로기를 생산해 내는 본산이면서 동시에 그 이데올로기가 물리적으로 표현된 기념물의 성격도 갖고 있어서 신전을 경험한 이들은 그 신전이 담고 있는 이데올로기에도 익숙해지게 된다. 누비아는 신왕국 시대 말기 다시 독립성을 되찾지만 누비아인들은 이미 상당 부분 이집트화돼 있었다.

그런데 이집트로부터 오래도록 억압을 받던 누비아가 반대로 이집트를 통치했던 적도 있었다. 바로 25왕조 시대다. 누비아의 왕 피예(피앙키)는 북진해 기원전 747년 이집트를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그의 후예들이 약 100년간 이집트를 통치했다. 그러나 이 누비아인들은 이미 완전히 이집트화돼 있어서 그들의 통치는 과거의 파라오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 누비아의 이집트 지배를 끝낸 것은 이집트인들이 아니었다.

누비아 세력을 이집트에서 몰아낸 것은 기원전 7세기 중반 이집트로 쳐들어온 아시리아인들이었다. 그들은 누비아 지배층을 남쪽으로 몰아내고 이집트에 아시리아 괴뢰 정권인 26왕조를 세운다. 그러나 아시리아는 곧 힘을 잃고 기원전 7세기 후반 바빌로니아에 멸망을 당한다. 그렇게 아시리아가 약화된 틈을 타 이집트는 다시금 완전한 독립을 쟁취할 수 있었다. 2000년 넘게 근동의 패자로 군림하던 이집트가 오래도록 속국이었던 누비아에게 지배받게 된 것뿐만 아니라 외래의 힘을 통해서만 독립을 이룰 수 있는 신세가 된 것이다.

패권이라는 것이 이렇다. 이 우월한 권력은 단기적으로는 어느 한 곳에 머무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끊임없이 흘러다닌다. 이런 역사적 경험은 지난 세기 식민지와 제국으로서의 관계를 갖기도 했던 한국과 일본이 최근 겪는 갈등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없지는 않을 것 같다.

역사가 우리에게 건네는 단 하나의 교훈이 있다면 그것은 ‘모든 것은 변한다’는 한 문장일 것이다.
2019-08-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