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탁 미래와 세상] 결혼과 주례사

[이영탁 미래와 세상] 결혼과 주례사

입력 2013-09-23 00:00
업데이트 2013-09-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영탁 세계미래포럼 이사장
이영탁 세계미래포럼 이사장
누구나 하는 결혼이지만 결혼에 대한 평가는 사람마다 다르다. 결혼 전에는 결혼을 동경하다가, 하고 난 다음에는 생각이 변하는 수가 많다. 해도 후회, 하지 않아도 후회라는 중립적 평가도 있지만 부정적 평가가 많은 것 같다. 소크라테스는 “좋은 사람을 만나면 행복해질 것이고, 나쁜 사람을 만나면 철학자가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몽테뉴의 평가는 색다르다. “결혼은 새장과 같다. 안에 있는 새는 나오려고 하고, 밖에 있는 새는 들어가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 결혼을 하지 않는 사람이 부쩍 늘고 있다. 전엔 결혼이 나이가 들면 으레 하는 필수 과정이었다. 지금은 결혼 연령이 훨씬 늦어졌고 아예 혼자 사는 사람도 흔하다.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 된 것이다. 그래서 결혼하지 않는 사람 중엔 미혼이 아니라 비혼(非婚)이 많다는 것이다. 이처럼 세월이 흐르면서 결혼 풍속이 달라지는 걸 보면 결혼도 환경 변화에 따라 진화를 하고 있다고 할까. 결혼 이후의 모습도 달라진 건 마찬가지다. 어렵사리 결혼을 해도 출산율은 떨어지고 세 쌍 중 한 쌍이 이혼을 하는 꼴이다.

얼마 전 어느 결혼식에 참석해서 느낀 일이다. 주례사를 가만히 듣고 있자니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었는데도 주례사 내용은 옛날 그대로다. 부모에 효도하고, 평생토록 사랑하며, 끝까지 인내하고 양보해야 한다는 등 많이 듣던 얘기를 그대로 반복하는 게 아닌가. 주례가 신랑·신부에게 하는 얘기가 아니라 마치 자기 삶을 되돌아보면서 하는 넋두리 같다고 느낀 건 필자만의 생각일까?

요즘 젊은이들의 결혼관이 달라진 건 이제 어쩔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결혼식을 진행하는 동안 신랑·신부가 연신 웃어대는 장면이라든가 어른들 앞에서 사랑 표현을 자연스럽게 하는 것도 이상할 게 없다. 모든 것이 변화의 연속이다. 그런데 변하지 않는 게 한 가지 있다. 바로 주례가 하는 주례사의 내용이다. 누가 주례이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결국 나이 든 사람이 시대의 흐름을 못 따라가고 있는 모습이 아니겠는가.

주례는 대개 신랑·신부가 평소 존경하는 사람이다. 존경하는 분으로부터 살아가면서 지침이 될 좋은 얘기를 듣고자 주례로 모신 것이다. 그렇다면 주례는 어떻게 해야 할까. 주례는 무엇보다도 신랑·신부, 즉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해야 한다. 자기보다 20~30년 젊은 사람들이 앞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말을 해주어야 한다. 즉, 미래 이야기를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현실에 있어 대부분의 주례는 과거 이야기를 하고 있다. 과거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결국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이 급속하게 변하는 세상에 미래의 부부관계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게 틀림없다. 남편과 아내의 역할 구분이 뚜렷하지 않을 것이다. 각자가 독자적인 영역을 유지하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파트너 관계로 변모할 것이다. 초기의 열렬한 사랑이 세월과 함께 은은한 사랑과 신뢰관계로 변해가는 과정도 더욱 다양해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래의 부부관계는 어떤 모습일까? 어떤 모습이 가능하면서 바람직한 모습일까? 부부 간에도 이기적 유전자가 작용하는 이상 미래의 젊은이들은 어떤 방식으로 사랑하고, 인내하고, 양보하며 살아갈까? 어떤 미래학자는 이제 곧 일부일처제가 사라진다고 하는데 과연 그렇게 될까? 그런 세상을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의 대처방식은?

차제에 사회지도층 인사들에게 제안한다. 주례를 서는 것은 좋은 일이고 인생 선배로서 후배에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얘기를 해주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문제는 내용이다. 요즘 주례 없는 결혼이 늘어나고 있는데 그 원인이 주례사의 내용 부실에 있는 건 아닌지 음미해 볼 일이다. 주례를 서기 전에 미래 공부부터 할 필요가 있다. 좋은 주례사로 젊은이들의 미래를 잘 인도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보람 있는 일이 어디 있을까.

2013-09-2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