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홍시가 열리면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홍시가 열리면

입력 2019-10-15 17:20
수정 2019-10-16 0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생각이 난다. 홍시가 열리면 울 엄마가 생각이 난다. 자장가 대신 젖가슴을 내주던 울 엄마가 생각이 난다.’

나훈아가 부른 ‘홍시’라는 노래의 첫 구절이다. 울며 보채는 아이를 무심한 듯 달래는 어머니의 절절한 사랑을 표현한 가사가 나훈아의 절창과 잘 어우러져 특히 이맘때쯤 많이 흥얼대는 노래다.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어머니라는 존재의 역할은 위대했다.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생존전략으로 두 발 걷기를 선택한 인류의 골반구조는 두발 걷기에 유리하게 진화했지만, 대신에 어머니가 아이를 출산하는 산도가 좁아졌다. 더욱이 진화의 과정에서 우리의 머리는 점점 커지게 되었기 때문에 좁아진 산도로 커다란 머리를 가진 아이를 출산하는 과정은 어머니들이 오롯이 감당해야 할 생존의 고통이 되었다.

커다란 머리로 좁아진 산도를 비집고 나오는 과정은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위험한 순간이었다. 이 죽음을 넘나드는 고통을 감내하는 어머니의 희생과 사랑, 이 고통을 함께하는 자식과의 끈끈한 유대 관계는 인류 진화의 원동력이었다. 그래서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로 Mother(엄마)가 선정된 것이나 나훈아의 ‘홍시’처럼 아버지의 사랑보다 어머니의 사랑을 노래한 노래가 훨씬 많다는 것은 당연하며 아버지들이 섭섭해야 할 이유도 없다.

얼마 전 영국 브리스톨대학의 연구팀이 유아 무덤에서 발견된 토기에 남아 있는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여 인류가 약 5000년 전 선사시대 때부터 이미 지금의 젖병과 같은 용기를 이용해 동물의 젖을 유아에게 먹인 것을 밝혀냈다. 선사시대의 모유 수유와 젖떼기 등 육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연구 결과로서 과학으로 하는 고고학이 만들어 낸 참으로 놀라운 연구 성과다. 선사시대의 아이들이 이 토기를 두 손으로 꼬옥 쥐고 어머니 품속에 안겨서 이유식을 먹었다고 생각하니 아이를 잘 키우고 싶었던 선사시대 어머니들의 지극 정성이 느껴진다.

이탈리아의 아렌느 캉디드에서 발견된 다람쥐 모피를 입은 아이라는 별명을 가진 어린아이의 무덤에서도 애틋한 선사시대 부모의 사랑이 넘쳐난다. 약 2만 5000년 전의 후기구석기 시대 어느 날 6살 정도 된 어린아이가 죽자 엄마아빠는 수십 마리 다람쥐를 잡아 그 꼬리를 잘라 폭신한 망토를 만들어 입혀서 잘 묻어 주었다. 아이의 머리맡에는 아이가 가지고 놀던 돌로 만든 실로폰, 조개껍데기 같은 장난감이 놓여 있었다. 붉은색 흙을 정성스럽게 뿌린 이 아이의 유골을 바라보고 있으면 사랑하는 아이를 떠나보내는 엄마의 애절한 목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수백만년 전 두 발로 걷기 시작한 그때부터 우리 어머니들의 사랑은 한결같았다.

하 수상한 시절이라는 단어로는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하루하루가 혼탁하고 각박한 세상이다. 힘든 세상 뒤처질세라. 사랑 때문에 아파할세라. 생각만 해도 눈물이 핑 도는 울 엄마가 그리워지는 그런 가을날이다.
2019-10-16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