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열의 메디컬 IT] 맞춤 정밀의료를 위한 ‘코호트 연구’

[이상열의 메디컬 IT] 맞춤 정밀의료를 위한 ‘코호트 연구’

입력 2019-03-18 23:26
수정 2019-03-19 03: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코호트’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다. 일정 규모의 부대를 의미하는 군사 용어였지만 ‘특정한 통계적 또는 인구학적 특성을 공유하는 사람의 집단’이란 학술 용어로 의미가 넓어졌다. 의과학 또는 사회학 연구에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경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코호트 연구를 수행한다. 대상자를 모으고 이들을 관찰해 경과가 달라진 이유를 분석해 그 의미를 찾는다.

코호트 연구는 오랜 기간 숙성된 와인과도 같다. 결과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다림을 필요로 해서다. 하지만 잘 계획된 코호트 연구는 무작위 대조 연구와 함께 가장 믿을 만한 근거로 간주된다. 근거중심의학이란 성채를 이루는 견고한 주춧돌이 된다.

코호트 연구는 생각보다 어렵다.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대상자가 연구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하지만 상당수가 중도에 탈락한다. 여러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위해 연구 과정을 표준화하고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미국에선 지난해부터 개인별 맞춤 정밀의료를 위한 ‘올 오브 어스’(All of Us·우리 모두) 코호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문 큰 규모의 코호트다. 참여자 백만명을 모집하고 향후 10년간 경과를 관찰할 예정이다. 기본 설문 외에도 전자의무기록 등 주요 건강기록, 혈액과 소변 등의 검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생체 정보 등을 수집한다.

향후 이 자료는 다양한 의학, 의과학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3월 현재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5만명에 이른다.

정밀 의학을 위한 범국가적 차원의 코호트 구축은 분명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이미 수년 전부터 영국, 핀란드,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사업이 국가 중점 연구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코호트 연구가 중요하고 여러 국가에서 정밀의료의 근거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면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한 연구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미 상당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있어 충분히 실현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범국가적 차원의 정밀의료 코호트 구축을 위한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제 우리도 담대하게 일을 추진하면 어떨까. 특정 기관, 지역, 연구자를 넘어 전국을 대표하는 정밀의료 코호트를 만들자. 희망하는 전국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대상자 모집을 추진해 보자. 개인정보의 철저한 보호를 전제로 대상자의 의무기록,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청구자료, 건강검진자료 등 전산화가 가능한 주요 데이터를 코호트의 기본 자료로 활용해 보자. 확보한 검체는 이미 국제적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질병관리본부 인체유래물은행의 시스템을 활용하자. 나아가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국내외 유망 헬스케어 스타트업과 연계해 이들의 창의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코호트에 적용해 보자. 여러 제도적, 법률적 문제가 추진에 어려움으로 작용한다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의논해 보자.
2019-03-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