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월 청주 석곡동
문제는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가는 통로가 어디인가였다. 마젤란은 남아메리카 남단에 ‘인도양으로 들어가는 통로’가 있다는 ‘기이한 확신’을 품고 모험 항해에 돌입한다.
그의 절대적 확신은 독일의 지리학자 마르틴 베하임(1459~1507)의 보고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베하임의 보고서가 남위 40도에 위치한 라플라타강의 거대한 하구(河口)를 ‘인도양으로 들어가는 통로’로 착각한 오류였다는 사실이다. 베하임의 보고서를 근거로 거창한 세계 일주 계획을 세웠을 때 마젤란은 잘못된 자료에 현혹돼 있었다.
그가 ‘절대적 확신’을 가질 수 있었던 비밀의 열쇠는 ‘오류를 진정으로 믿었고 진정으로 받아들였다는 데’ 있었다. 그러나 누가 이 오류를 경멸할 수 있단 말인가. 그의 오류 덕분에 태평양의 존재도 알려졌다. ‘태평양’이라는 이름을 지은 것도 마젤란이다.
시대정신에 부합하고 우연에 의해 인도되면 가장 어처구니없는 오류에서도 최고의 진실이 생겨날 수 있다. 수많은 중요한 학문적 발명, 발견들도 그릇된 가정에서 비롯되지 않았던가. 근대 이후 발달한 ‘화학’도 중세의 미신적인 연금술에서 비롯됐다. 영어 화학(chemistry)은 연금술(alchemy)에서 나온 말이다.
지구의 크기를 실제보다 훨씬 작게 엉터리로 계산한 토스카넬리의 지도가 없었더라면 콜럼버스는 대양으로 떠나려고 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마젤란은 부정확한 베하임의 보고서를 우직하게 믿고 오류에 모든 것을 걸고 바쳤기 때문에 그 시대의 가장 큰 지리학적 비밀을 풀 수 있었다.
시골 농가 텃밭을 찍고 모니터로 확인하니 토란잎에 온통 초록색 오로라가 펼쳐져 있다. 렌즈의 광학적 문제로 인한 오류다. 하지만 그 덕에 예기치 못한 비현실적인 이미지를 담는 행운을 얻었다. 세상만사 계획대로 돌아가지는 않는다. 하지만 뜻밖의 결과를 얻기도 한다. 그게 인생 아닐까.
2019-10-16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